생원 · 진사시에 합격한 생원 · 진사는 일정 기간 성균관에서 수학한 후 문과(文科)에 응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성균관에 수학하지 않는 기간은 고향에서 머물며 문과를 준비해야 했다. 각 고을에서는 지역 출신 생원 · 진사들의 수학을 위하여 사마소(司馬所) 혹은 사마재(司馬齋)를 건립하고 재정과 인력을 지원하였다. 사마소는 생원 · 진사들의 수학 기구이자 교류의 장으로 기능하였다.
사마소는 조선 초기부터 건립 사례가 보이지만, 각 고을에서 자율적으로 설립하였기 때문에 사마소의 설립 시기는 고을마다 달랐다. 생원 · 진사들의 배출 정도나 지역 사회와 수령의 관심과 지원 여부에 따라 설립이 결정되었다. 연산군 대에 사마소가 조정의 이목을 끈 것에 비추어 보면 이즈음에는 전국적으로 상당히 많은 수가 설립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마소는 당초 수학 기구이자 친목의 장으로 설립되었으나 점차 사회적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16세기에는 지역 사회에서 국가의 공식 기구인 유향소(留鄕所)보다 위세가 높고 향론(鄕論)을 주도하여 수령의 관정(官政)에 위협이 된다는 점이 지적되기도 하였다. 조정에서는 수령을 통해 지방을 통치하고자 하였고, 서원을 건립하여 사마소를 규제하려고 하였다. 이에 서원이 수학 기구이자 지역 양반들의 대표 기구로 자리 잡아 감에 따라 사마소는 점차 쇠퇴하였다.
그런데 숙종, 영조, 정조 대에 이르면 다시 각지에서 사마소를 중건하고 고을 출신의 역대 생원 · 진사 명단을 기록한 사마안(司馬案) · 사마록(司馬錄)을 작성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지역에 따라서는 생원 · 진사의 명단인 사마안을 확장하여 문과 급제자도 함께 수록한 연계안(蓮桂案)을 작성하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에 중건된 사마소도 수학 기구로 설립되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향교와 인접한 곳에 사마소가 위치하고 있었다.
중건된 사마소는 양반층의 신분 의식을 강하게 드러내었다. 이 시기에는 양반들이 향촌 사회에서 주도권을 상실하고 그 사회적 위상이 하락하였다. 또 고을 유력 양반들의 명부인 향안(鄕案)의 작성이 중지되고, 서원이 문중 기구화하는 등 내부에서도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 가운데 양반들은 사마소를 중건하고 과거 합격자와 그 후예라는 이력을 내세워 지배 신분으로서의 위상과 사회적 지원을 보장받고자 하였다. 기존의 유향소와 향안을 대체하여 사마소나 사마안, 연계안을 양반들의 기구와 명단으로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이 때의 사마소와 사마안 · 연계안은 과거 합격자라도 서얼이나 향리 등 비양반층 출신은 배제하는 신분적 폐쇄성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사마소의 가입과 사마안 · 연계안의 입록을 둘러싼 분쟁들이 발생하며 사마소나 사마안도 치폐를 거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