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 )

목차
관련 정보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홍제암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사명대사 유정의 부도와 탑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陜川 海印寺 弘濟庵 四溟大師塔 및 石藏碑)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0년 09월 28일 지정)
소재지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54, 홍제암 (치인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홍제암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사명대사 유정의 부도와 탑비.
내용

200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홍제암은 해인사 일주문의 서편 20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사명대사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이곳에서 은거하다가 1610년(광해군 2)에 입적하자, 광해군은 그의 죽음을 애도하여 시호(諡號)를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라 내리고, 그의 비를 세우게 했다고 한다.

홍제암의 경내에는 모두 7기의 탑과 비석이 건립되어 있는데, 사명대사의 비와 탑도 이 중 하나이다. 비는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를 갖춘 높이 3.1m의 규모인데,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3년에 비문의 내용이 한국인의 민족혼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하여 당시의 경찰서장이 이 비를 네 조각으로 부수어 길가에 방치하였다고 한다.

광복 후 사찰의 스님들이 방치되었던 비편을 명월당(明月堂)에 모아놓았고, 1958년에 현재의 위치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비문은 당대의 석학 허균(許筠)이 써서 1612년(광해군 4)에 건립하였다.

비석에 표현된 양식적 우수함과 더불어 사명대사에 관한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사료적 가치 또한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탑은 높이 1.3m 규모의 석종형부도(石鍾形浮屠)이다.

방형의 기단 상면에 높직한 원형 받침을 마련하고, 상면에 보주(寶珠)가 표현된 석종형의 탑신을 놓았다. 비와 탑은 건립연대가 확실하여 다른 석조물의 연대추정에 근거를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양식적인 면에 있어서는 17세기 초반에 유행되던 석조미술의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경남문화재대관』도지정편(경상남도, 1995)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해인사』(한국불교문화연구원, 1975)
집필자
박경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