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각종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소비하는 사회에 있어 광공업의 단순화와 호환성(互換性)을 높임으로써 생산능률을 높여 산업의 발전기반을 강화하고 소비생활을 보호하여 국민생활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표준화의 목적이다.
표준화를 위해서는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 설계방법, 생산공정 및 작업방법, 제품의 치수·구조, 품질의 성분·성능·내구성(耐久性), 그리고 제품의 시험분석 및 검사방법은 물론, 포장과 기타 일반업무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기준을 정립해두고 있다.
이러한 표준화가 이루어지면 우선 생산자에게는 생산공정상의 능률이 높아지고, 시설 및 인력투자의 효율화, 불량률의 감소와 품질의 향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는 품질식별을 쉽게 하고 물품의 교환 및 수리도 쉽게 하며 유통단계도 축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우리 나라는 1961년 9월 30일 <공업표준화법>이 제정되어 국내 우수 광공업품을 선정하여 한국공업규격(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표시를 붙여 생산·판매해 왔다.
이와 아울러 1961년 11월 상공부(현 산업자원부)에 표준국이 설치되고 한국규격협회가 설립되었으며, 1963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가입하게 되었다.
1973년 공업진흥청이 설치되면서 표준화사업을 적극 추진한 이후 1981년부터는 시범공장지도사업이 전개되어 KS허가가 되어 있지 않은 품목분야의 소재와 부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매년 100개 내외의 공장을 선정하여 KS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집중지도하는 사업을 펴오고 있으며, 1983년부터는 외국인도 KS를 신청하여 허가받을 수 있도록 하여 KS제도를 법적으로 국제사회에 개방하고 있다.
이후 1992년 12월 <공업표준화법>을 <산업표준화법>으로 개정하였고, 1998년 7월부터는 잠정표준제를 도입하고 KS표시 허가제를 인증제로, 단체표준의 승인제를 신고제로 완화하였다.
KS표시가 제정된 건수는 1962년 처음으로 300종의 규격을 제정한 뒤 1998년 현재 1,014종으로 늘어났는데, KS표시 인증 대상품목은 표시 지정품목 및 지정가공기술에 한하며, 이는 기술품질원장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 또는 이해 관계인의 신청에 의하여 산업표준심의회의를 거쳐 기술표준원장이 지정하도록 되어 있다.
KS표시 인증절차는 희망업체가 기술표준원 표준부에 신청하면 전문가의 사전심사와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인증여부를 결정한다. KS표시 인증요건은 규격수준 이상의 품질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시설과 검사시설의 완비 여부, 원자재 관리상황과 생산공정의 합리성 여부의 검토, 제품에 대한 품질검사에 합격해야 한다.
이밖에 이러한 품질수준이 허가 후에도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사내 표준화체제 내지 품질관리기반의 확립 여부도 심사하게 된다. KS표시 인증실적은 1963년 2건이 처음으로 허가된 뒤 1972년 694건, 1983년 2,550건을 비롯하여 1998년 현재는 1만 193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정부는 우수한 KS표시 인증공장의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각종 지원제도도 마련해오고 있는데, 양질의 KS제품의 많은 수요를 위하여 정부기관이나 공공단체에서의 우선 구매와 일반 민수분야(民需分野)에서도 지정된 종류의 건축자재는 반드시 KS제품만을 쓰도록 의무화하는 등 개별법령을 통한 특별규정까지 두고 있으며, KS표시 인증을 받은 제품은 광공업품에 대한 품질검사나 전기용품 형식승인, 열기기(熱器機)나 계량기 등에 대한 각종 검사도 면제하고 있다.
KS표시 인증을 받은 공장에 대해서는 5년마다 공장심사 및 제품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인증기관의 지정심사기관과 합동으로 직접 실시하거나 품목별 품질관리단체의 지원을 받아 실시하여 규격에 미달하거나 또는 위반되는 제품에 대하여는 주의경고·표시변경·표시정지·판매정지·허가취소 등의 처분을 함으로써 KS제품의 품질이 유지되도록 꾀하고 있다.
이러한 KS보급을 통하여 이룩한 성과는 공장 내의 모든 부서에 걸쳐 철저한 표준화로 생산관리를 하고, 회사마다 항상 더 높은 수준을 향하여 끊임없이 규격을 향상시켜 나가고 있는 점, 또 같은 회사 안에서도 KS 제품을 만드는 부서가 비 KS제품 생산부서보다 생산성이 높고 인증 전보다 인증 후에 품질이 개선되었으며 규격제품의 생산을 위하여 자발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 그리고 제품의 불량률과 소비자의 불만율이 낮아졌고 제품의 판매액이 늘어났으며 KS제품이 외국의 소비자들에까지 인정을 받고 있어 수출신장에 도움을 주고, 기업의 재무구조가 개선되고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민생활의 개선과 산업발전에도 현저한 기여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