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1.5m. 197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경주 남산 서쪽 사면의 삼릉계곡에 있는 큰 바위의 윗부분을 쪼아내어 부조한 관음보살상이다.
전체 윤곽이 광배(光背) 형태로 마무리되어 있으며, 오른손은 들어 가슴에 대고, 왼손은 내려 정병(淨甁)을 든 모습이다. 얼굴과 몸의 윗부분은 비교적 고부조로 입체감이 있게 표현되었으나, 허리 아래 부분은 윤곽이 불분명하고 표면이 거칠며, 왼쪽 다리 옆의 정병만 고부조로 표현되어 확실한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머리에 보관(寶冠)의 표현은 없고, 육계(肉髻)처럼 솟아오른 민머리[素髮]이다. 입이 작고 입 끝을 살짝 오므려 미소짓고 있는 얼굴은 비교적 길고 통통하여 자비스러운 모습이다. 천의(天衣)는 왼쪽 어깨에서 가슴을 비스듬히 지나면서 넓게 도드라져 있다.
하체에는 군의(裙衣)를 묶은 띠가 허리에서 무릎 바로 위까지 늘어져 있고, 양 다리에 각각 U자형 주름이 새겨져 있는데 선각(線刻)에 가깝게 표현되어 있다.
천의가 입혀진 형식이나 손바닥을 앞으로 내보이면서 정병을 들고 있는 손모습은 통일신라 8세기 관음보살상의 전형적인 표현인 경주의 굴불사지사면석불(掘佛寺址四面石佛) 중 서쪽면의 왼쪽 관음보살상이나 칠불암마애삼존불(七佛庵磨崖三尊佛) 중의 정병을 든 보살상 등과 유사하며, 불상의 비례와 착의법(着衣法), 그리고 지물(持物) 등 에서 8세기 후반경의 제작으로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