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교실 (새)

목차
관련 정보
새교실
새교실
문헌
1948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초등교단의 수업지침서 구실로 발행한 잡지. 월간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48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초등교단의 수업지침서 구실로 발행한 잡지. 월간지.
내용

≪새교실≫은 교육법 제80조, 민법 제32조에 의거 비영리 사단법인체로 출범한 한국교육단체총연합회(약칭 교총, 당시 대한교련)가 창립된 이듬해인 1948년 12월 ‘초등교단의 수업전문지’성격을 표방하면서 월간지로 창간되었다.

교원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을 목적으로 태동한 교총은 당시 한국교육정책의 방향, 교육정보, 수업의 직·간접자료 제공 등 초등교단의 교수 지원매체로서 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조력할 수 있는 전문 잡지 발간의 필요성을 강력히 느꼈다. 따라서 ≪새교실≫은 1948년 12월부터 매월 발행하되, 초등교단에 국한된 수업지침서 구실을 하면서 발행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50여년의 반세기가 지나면서 이젠 초등교단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수업지원도서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물론 교육부 발행 ≪교사용 지도서≫·≪교육자료≫ 등 유사 잡지가 발행되어 발행 부수면에서 독점 발행 시대보다는 다소 떨어졌으나 현재는 초등교사이면 누구나 ≪새교실≫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초등 교육에 기여한 바가 크다.

1998년 9월호로 무려 통권 507권에 이르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게 된다. 새교실은 크게 평월호·방학호로 구분하여 매년 평월호 9회, 방학호 3회(여름호·겨울호) 등 12회가 발행된다.

새수업(교수·학습 지도안)은 수업의 질적 제고를 위한 창의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의 모델을 교과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개발하여 학년별, 교과별, 차시별로 지도안 중심으로 발행하는 책이다. 그 내용은 에듀넷(EDUNET)을 통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다.

교육과정은 끊임없이 변천되고 그에 따른 교과서도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수업안의 틀을 재점검하기를 수 차례 거듭했으며, 제5차 교육과정이 개정 적용(1∼3학년)되던 첫해부터 흔히 적용해 오던 수업안의 형태를(도입-전개-정리) 과감히 탈피하여 13여 종의 수업모델을 착안·적용해 오고 있으며, 질적 향상과 가독성을 높이는 양면적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수업안은 처음에는 국판 판형 형식으로 발행했으나 요즈음 내용을 보다 충실히 하고 수업시 필요한 동기유발자료, 보충·심화 학습자료, 참고자료, 판서자료 등을 강화하면서 지면을 늘리고 판형을 키워 4×6배판으로 발행되고 있다.

분량은 학년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평균 250여 쪽에 달하며 수업안 중심에서 보다 발전하여 ‘창의성자료, 놀이학습자료, 인성교육자료, 재량시간운영자료’를 더 추가하였다. 특히 1996년부터는 학습자 개인의 수준별·능력별 차이를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강조하는 ‘열린 수업안’을 개발하여 매달 학년별로 확대 보급하고 있으며 수업안은 ≪새교실≫이 내놓는 책 중 중심 도서로서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는 부분이다.

또한 ≪새교실≫ 부록은 ≪새교실≫이 제공하는 특별 보너스물이다.

교육의 시대 흐름과 교육과정 변천에 발맞춰 그때 그때 필요한 학급경영, 성공수업사례, 생활지도, 특별활동 등 교육활동 전반은 물론 교원정보 자료까지 담아 거의 매월 다르게 제공하여 왔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