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남한기략 / 호종상가사면상소
남한기략 / 호종상가사면상소
한문학
개념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을 통칭하는 한문문체.
목차
정의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을 통칭하는 한문문체.
내용

주의류(奏議類)에 속한다. ‘소(疏)’라는 글자에는 ‘통하게 하다’라는 뜻이 있다. 이 말이 문체의 이름으로 쓰인 것은 한(漢)나라 때부터이다. 한나라 이전에도 임금에게 올리는 글이 있었다. ≪서경 書經≫의 <이훈 伊訓>이나 <무일 無逸>과 같은 편은 신하가 임금에게 충심으로 경계의 말을 아뢰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전국시대(戰國時代) 이전에는 임금에게 올리는 글을 ‘상서(上書)’라고 하였다. 진나라 때에는 ‘주(奏)’라고 하였다. 한나라에 와서 ‘상소(上疏)’라고 하였다. 후세에 그 말이 점차로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의 통칭으로 쓰이게 되었다.

임금에게 올리는 글은 본래 여러가지 명칭으로 불리웠다. 진(秦)나라 때에는 그것을 사품(四品)으로 분류하여 장(章)·표(表)·주(奏)·의(議)라 하였다. 그 후에 책(策)·계(啓)·장(狀)·전(箋) 등의 용어도 사용되었다. 이들은 그 쓰이는 경우가 약간씩 다르다. 그러나 그 후에 와서는 임금에게 올리는 글을 통틀어 주소(奏疏)라고 하였다.

주소(奏疏)의 글투에 대해 양(梁)나라 유협(劉勰)은 ≪문심조룡 文心雕龍≫에서 “글투가 분명하고 진실되어야 한다. 독실하고 정성스러운 것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 사리를 분별하여 소통시켜야 한다. 이것을 첫째 조건으로 삼아야 한다.”라고 하였다. 사리를 논하는 글이니만큼 조리가 관통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 것이다.

소의 내용은 특정한 것으로 국한되어 있지는 않다. 대체로 정치 문제에 대한 것과 벼슬을 사양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 그 외에 사은(謝恩)이나 대죄(待罪) 등 여러 가지 내용도 있다.

주의류에 속하는 글들은 문학적인 측면에서 볼 만한 글이 있다. 그러나 역사 자료로서의 의의에 주목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는 한나라 때에 가의(賈誼)의 <진정사소 陳政事疏>를 위시하여 많은 글이 전해지고 있다.

소는 우리 나라에는 ≪계원필경집 桂苑筆耕集≫에 있는 최치원(崔致遠)의 <구화수대운사소 求化修大雲寺疏>를 위시하여 ≪동문선 東文選≫에만도 수십 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그 밖에 많이 알려진 작품으로는 이황(李愰)의 <무진육조소 戊辰六條疏>와 이이(李珥)의 <만언봉사 萬言封事>, 그리고 일명 ‘단성소(丹城疏)’라고도 불리는 조식(曺植)의 <을묘사직소 乙卯辭職疏> 등이 있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문선(文選)』
『문심조룡(文心雕龍)』
『문체명변(文體明辨)』
『中國古代文體槪論』(褚斌杰, 中國 北京大學出版社, 1990)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