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침례신학교 ()

목차
관련 정보
수도침례신학교
수도침례신학교
단체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용두리에 있었던 신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용두리에 있었던 신학교.
내용

1980년 10월에 기독교한국침례회 제10차연차총회 결의로 총회산하 수도권지역의 교역자 양성을 위해 교단 산하에 있던 11개 신학교를 통합, 수도침례신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

초대교장에 오관석(吳官錫)이 취임하였으며, 1984년 1월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신축 이전하고 신학과 40명과 야간(신학과) 20명으로 편성하였다. 1986년에 정규 4년제 대학학력인정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1998년 3월 현재 신학과의 1개 학과로 구성되었으며, 재학생 167명, 교수 7명이고 졸업생은 2,994명을 배출하였다.

교과과정을 통하여 침례교가 주장하는 신앙노선을 따라 유능하고 말씀이 충실한 침례교목회자를 양성하기 위한 실천적 신학이론을 연구, 교수하며, 동시에 선교사와 신학자 및 사회지도자를 양성하는 데에 교육목표를 두었다.

‘말씀·사랑·선교’라는 교훈 아래 ① 하나님의 말씀을 바로 알고, ②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훈련을 쌓고, ③ 이웃과 세계선교를 위한 준비를 갖추게 하는 교육방침을 두었다. 졸업생은 기독교한국침례회 교단에서 목사안수를 받아 목회자로서 교단에서 일하게 된다.

신학신문 『수도침신학보』를 정기적으로 발간하였다. 경배와 찬양선교단 등 음악 동아리를 통한 음악선교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매년 ‘수침제’와 추수감사축제활동 등이 개최하였다. 2006년 침례신학대학교와 통합되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문재홍(수도침례신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