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 ()

목차
관련 정보
사례편람 / 심의
사례편람 / 심의
의생활
물품
유학자들이 입던 겉옷.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유학자들이 입던 겉옷.
내용

백세포(白細布)로 만들며 깃·소맷부리 등 옷의 가장자리에 검은 비단으로 선(襈)을 두른다. 대부분의 포(袍)와는 달리 의(衣)와 상(裳)이 따로 재단되어 연결되며, 12폭의 상이 몸을 휩싸게 되어 있어 심원한 느낌을 준다. 그러므로 심의라는 말도 이런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복건(幅巾)·대대(大帶)·흑리(黑履)와 함께 착용한다.

기원은 고대 중국의 주나라 이전이며 우리 나라에는 고려 중기 이전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심의제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예기 禮記≫ 왕제편(王制篇)에 “유우씨가 심의를 입고 양로의 예를 행하였다(有虞氏深衣而養老).”라 한 것이다. 또, ≪예기≫의 옥조(玉藻) 및 심의(深衣)편에 그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고, 부분적인 치수까지도 명시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신분에 관계없이 널리 입혀져 천자나 제후는 평복으로, 사대부는 조복(朝服)과 제복(祭服) 다음가는 옷으로, 서인(庶人)은 길복(吉服)으로 입었다. 우리 나라 문헌에 보이는 최초의 기록은 ≪고려사≫ 예종조에 “계축에 요(遼)의 제전조위사(祭奠弔慰使)가 숙종의 우궁(虞宮)에서 제(祭)하였는데 왕이 심의를 입고 이를 도왔다.”고 한 것이다.

이 기록에 보이듯이 고려시대에 이미 심의가 착용되었으며, 고려말에 이르러는 주자학의 전래와 더불어 주로 유학을 숭상하는 학자들이 입었다. 이는 주희(朱熹)가 ≪가례 家禮≫에서 심의를 유학자의 법복으로 추거한 때문이다. 그뒤 조선시대 전반을 통해 유학자에게 널리 숭상되었고, 관혼상제의 사례(四禮)를 행하는 데 있어서의 예복으로도 사용되었다.

심의의 실물이 전하는 것은 없지만, 초상화에는 심의를 입고 있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으며 학자들의 심의에 대한 논설도 많이 있다. 대표적인 사람들로는 한백겸(韓百謙)·유형원(柳馨遠)·서유구(徐有榘)·이덕무(李德懋)·이재(李縡)·이혁(李爀)·유계(兪棨)·조호익(曺好益) 등을 들 수 있다.

심의제도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설을 종합하여보면, 심의는 대체로 둥근소매[圓袂]와 굽은깃[曲袷]을 갖추고 있으며 의와 상을 따로 마름하여 허리에서 붙여 연결한 긴 포(袍)형의 옷이다. 허리둘레는 밑단 둘레의 반이고 옷의 전체길이는 복사뼈에 닿을 정도이다. 허리에는 띠를 매고 목둘레·소맷부리와 옷단의 가장자리에는 선을 두른다.

옷감은 백세포를 쓰고 마름질할 때는 지척(指尺)을 사용하여 치수를 잰다. 심의를 마름하는 법은 다음과 같다. ① 저고리의 길은 포 2폭을 사용하여 마름질하며 길이는 2척2촌이다. ② 소매는 저고리 길의 좌우에 각각 1폭씩을 붙이는데 길과 꿰매 붙이는 부분의 너비는 길의 길이와 같게 하고, 점차로 소매 밑부분을 둥글려 소맷부리에 이르면 1척2촌이 되게 한다.

③ 상은 포 6폭을 사용하여 만드는데, 설에 따라 각 폭을 어긋나게 마름질하여 모두 12조각을 만든 뒤에 좁은 쪽은 위로, 넓은 쪽은 아래로 하여 12조각을 이은 뒤 저고리 앞뒤·좌우 길에 이어붙이는 법, 12조각으로 하되 후면은 좌우 3조각씩 6조각을 잇고 앞면은 겉길에 4조각을 잇고 안길에 2조각을 붙이는 법, 포 6폭 중 4폭은 세로로 2등분하여 8조각을 의에 잇고 2폭은 어긋나게 마름질하여 4조각의 삼각형을 만들어 상 옆에 붙이는 법 등 세 방법이 있다.

이러한 각 부분의 형태에는 각각 철학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즉, 각 부위의 철학적 의미가 서로 호응, 조화되어 은연중에 심의를 착용한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정화, 균제(均齊)하여 항상 자아를 올바르게 다스렸으면 하는 바람이 내포되어 있다. 의와 상을 따로 마름질하는 것은 우주의 근본이 건곤(乾坤)에 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원래 건은 위에, 곤은 아래에 있어서 우주를 형성하는 것이다. 곧 의는 건을, 상은 곤을 상징한 것이며, 건은 곤을 통섭할 수 있으므로, 이 둘을 이어붙인 것이다. 이러한 우주의 순리는 다시 치마를 12폭으로 마름질함으로써 더욱 심화되는데, 이는 12달에 응하는 것으로 하늘의 순리가 운행되면 1년 4계절이 12달로 구현된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소매의 둥근 모양은 규(規)에 응한 것이다. 또, 걸으며 손을 올려도 부승(負繩 : 심의의 뒷중심선)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부승이 지니는 철학적 의미가 다른 것에 의해 흩어지지 않게 하려는 의도이다. 부승은 직(直)에 응하였다 하여 곧고 바른 선을 등에 짐으로써 그 정(政)이 풀어짐을 바로잡아 곧게 하기 위함이다.

아랫단은 저울처럼 평평하게 하였는데 이는 뜻과 마음을 평안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옷모양이 높고 낮음이 없이 고르게 하기 위함이다. 선의 색은 부모와 조부모를 모두 모시고 있는 사람은 오채(五彩)로 꾸며 즐거움을 나타내고, 부모를 모두 모신 사람은 청색으로 하여 공경함을 나타내었다.

부모가 없는 사람은 선을 본바탕색 그대로 하여 슬픔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후대에 와서는 그것이 번거롭다 하여 모두 검은색 선을 두르게 되었다. 이러한 심의는 철릭[天翼, 貼裏]·난삼(襴衫)·학창의(鶴氅衣)에 영향을 주었다.

참고문헌

『예기정의(禮記正義)』
『구암유고(久菴遺稿)』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가례(家禮)』
집필자
김인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