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 대웅전 ( )

목차
관련 정보
진도 쌍계사 대웅전
진도 쌍계사 대웅전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쌍계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창건된 사찰건물. 불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쌍계사대웅전(雙溪寺大雄殿)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5년 02월 25일 지정)
소재지
전남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299-30 (사천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쌍계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창건된 사찰건물. 불전.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건물. 1985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쌍계사는 신라 문성왕 때 도선국사(道詵國師)에 의해 세워진 고찰로 전해지고 있다.

사역(寺域)은 경사진 지형을 3단으로 정지하여 첫째 단에 해탈문(解脫門)과 셋째 단에 대웅전이 동서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대웅전의 건립 시기는 1982년 대웅전의 지붕을 보수할 때 발견된 상량문(上樑文)의 기록으로 1697년(숙종 23)으로 밝혀졌다.

서향으로 배치된 대웅전의 기단은 약 1m 높이의 막돌허튼층쌓기로 되었으며 초석은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민흘림의 원주를 세웠다. 기둥머리는 창방(昌枋)으로 결구하고 평방(平枋)을 얹었으며, 평방 위 주두(柱頭) 위에는 공포를 짜고 있다.

전면 양쪽의 모서리기둥[隅柱]머리에는 용두(龍頭)조각으로 장식하였으며, 그 상부에는 평방(平枋)을 뺄목으로 하여 十자로 교차시켰다. 공포는 중앙간에 2구의 주간포(柱間包), 양 협간(夾間)에 1구의 주간포를 놓은 내외 삼출목의 다포(多包)양식이다.

외부로 뻗은 살미첨차 끝에는 예리한 앙서[仰舌]로, 내부는 연봉(蓮峰)으로 처리하였다. 또 외부 첨차의 소로 밑면에는 연봉이 받치고 있다. 첨차형식에서 특이한 것은 주로 석탑건축 기단부에서 처리되고 있는 안상(眼象) 형태이다.

가구는 평방 위에 대들보를 걸었으며, 도리는 내외목도리와 중도리(中道里)를 받게 하고 고주(高柱)를 양편에 세워 중도리를 받게 하였고, 종보[宗樑]위로 짧은 동자주를 세워 종도리를 얹은 5량구조이다. 창호는 중앙간에 빗살 4분합문을 달고 양 협간에는 띠살 3분합문을 달았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내부바닥은 장마루를 깔았다.

참고문헌

『전국문화유적총람(全國文化遺蹟總覽)』(문화재연구소, 1996)
『진도군(珍島郡)의 문화유적(文化遺蹟)』(진도군, 198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