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신대학교 ()

목차
관련 정보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단체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에 있는 사립신학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에 있는 사립신학대학교.
연원 및 변천

1981년 12월에 학교법인 아시아연합신학대학원의 설립과 함께 개교하였다. 국제적으로 세워진 복음주의적 신학대학으로서, 1968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지구전도대회에서 아시아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신학대학원을 설립하기로 결정되었다.

1971년 5월 국제이사회가 우리나라에서 개최되어 이를 한국에 설립하기로 결정, 1973년 10월 한경직(韓景職) 목사, 원장 모페트(Moffett, S.), 부원장 한철하(韓哲河)를 추대하여 설립을 추진하였다. 미국의 웨어하우저(Weyerhauzer, C. D.)의 희사로 서대문구 충정로에 교사를 마련하여 1974년 5월 1일 개원하였다.

국제신학대학원으로 설립되었으므로 처음부터 모든 교육과정을 대학원과정으로 편성하여 진행하였다. 학위는 국내와 국외 몇 개 대학원, 즉 장로회신학대학, 서울신학대학, 미국의 훌러신학교(Fuller神學校) 등과 공동학위과정의 형식으로 하여 외국학생에게는 국내 신학대학원의 학위를, 한국학생에게는 외국 신학대학원의 학위를 수여하도록 하였다.

1977년에 문교부로부터 재단법인 아시아연합신학연구원의 설립인가를 받았다. 이 대학원은 처음부터 학부과정을 설립, 운영할 목적은 아니었으나 언제까지나 타 교육기관의 학위만을 수여하고 있을 수만은 없고, 우리나라의 교육제도를 따라 대학을 설립하여 대학원을 발전시키는 길밖에 없으므로 1981년에 문교부로부터 대학의 설립인가를 받게 된 것이다.

이와 함께 현재의 위치에 교사를 신설하였으며, 초대학장에는 한철하가 취임하였다. 1986년 11월에 신학대학원이 설치되었으며, 1993년 11월에 교명을 아세아연합신학대교로 바꾸었으며, 1997년 12월에 선교대학원이 설립되었다. 2021년 7월 아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현황

1998년 3월 현재 신학과와 아시아선교학과에 재학생 568명, 교수 22명, 졸업생은 1997년 2월까지 804명을 배출하였다. 부속기관으로는 도서관·신문사·방송국·출판부·기숙사 등이 있으며, 부설연구소로는 공산권선교연구소 등이 있다.

학교의 특색으로는 1982년에 우리나라 최초로 아시아선교학과를 설치한 일이다. 이는 ‘아시아복음화’를 교훈으로 하여 설립된 만큼 아시아연구의 필요성에 봉착하여 처음부터 신학연구와 병행하여 아시아 지역연구의 자료수집에 역점을 두는 한편 그 방면의 학자를 확보하기에 힘쓴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국제교육기관으로서 아시아 각국으로부터 유학오는 외국인학생 교육을 주축으로 하여 교육언어도 영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학생도 국제진출을 목표로 하여 아시아지역연구와 아시아의 언어를 습득하게 하는 등 새아시아건설의 역군을 양성하기에 힘쓰고 있다.

15개 동아리를 중심으로 활발한 학생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학축제인 ‘다락방 축전’을 개최하고 있다. 『아시아복음화』를 계간으로 발행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