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지례리 고인돌군 ( 고인돌)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지례리 지석묘군 전경
안동 지례리 지석묘군 전경
선사문화
유적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축조된 위석식 고인돌군. 지석묘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축조된 위석식 고인돌군. 지석묘군.
내용

낙동강 상류의 큰 지류인 반변천(半邊川)이 곡류하면서 생긴 협곡평지에 형성된 유적으로, 현재는 임하댐 속에 수몰되었다.

1988년과 1989년 임하댐 수몰지구 유적조사 중 계명대학교박물관에 의해 30기가 발굴 조사되었다. 대체로 강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길게 자리잡은 고인돌들은 상류쪽에 모여 있는 A지구(22기)와 하류쪽에 모여 있는 B지구(8기)로 구분된다.

고인돌의 규모는 상석(上石)의 크기가 길이 83㎝, 너비 75㎝, 두께 40㎝의 최소형으로부터 길이 298㎝, 너비 250㎝, 두께 160㎝의 최대형까지 있으나, 대체로 상석 길이 150㎝ 미만의 소형 고인돌이 대부분이다.

이 곳은 강물이 여러 번 범람했던 지역으로, 고인돌 상석까지 토사가 쌓이거나 전체가 땅 속에 묻힌 것도 있고, 고인돌의 하부구조가 물길에 쓸려나간 것도 있다.

고인돌의 하부구조는 상석 밑에 길이 30∼60㎝의 둥근 냇돌이나 자연석을 적당히 둘러놓고 다른 시설없이 그 자체를 매장공간으로 삼는 위석식(圍石式) 고인돌이다.

즉, 한반도 남부지방의 일반적인 고인돌들처럼 상석을 받치는 지석 아래에 별도의 돌널이나 돌덧널을 만들지 않고 지표면에 받침돌 4∼5개를 적당히 벌려 놓은 다음, 그 위에 상석을 올려놓아 지석과 상석 사이의 좁은 공간에 시신을 묻는 간단한 형식이다. 이 때 지석과 지석 사이의 틈은 밖에서 돌을 밀어 넣어 막고 있다.

이 유적에서는 고인돌 내부에서 돌칼자루장식[石製劍把頭飾]을 갖춘 돌칼[有莖式磨製石劍], 자루달린 돌칼[二段柄式磨製石劍], 돌화살촉, 반달칼[半月形石刀] 등이 출토되었다. 고인돌 주위에서는 민무늬토기·붉은간토기[紅陶]·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덧띠토기[粘土帶土器] 등 많은 토기편들이 출토되었다.

의의와 평가

유물들로 볼 때, 지례리 유적은 매우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유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고인돌군 자체의 연대는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의 형식으로 보아, 청동기시대 후기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임하댐 수몰지역 문화유적 발굴 조사 보고서』Ⅲ(계명대학교박물관, 198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