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언 설화 ( )

구비문학
작품
조선 전기 명필로 이름난 양사언에 관한 설화.
작품/문학
창작 연도
17세기 중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양사언설화」는 조선 전기 명필로 이름난 양사언에 관한 설화다. 문헌 설화는 양사언의 출생담에 맞춰 서자 및 열녀 문제를 다루었다. 문헌 설화 중 원형에 가까운 설화는 김명시의 『무송소설』에 수록된 것이다. 『무송소설』 이후 문헌 설화는 크게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하나는 양사언이 서자임을 숨기기 위해 그의 어머니가 자결하는 유형이고, 다른 하나는 양사언 어머니의 예지로 아들 형제를 성종에게 발탁케 하는 유형이다. 구비 설화는 강원도 일대에서 주로 전승되었고 양사언의 이인적인 면모에 주목하였다.

정의
조선 전기 명필로 이름난 양사언에 관한 설화.
개설

문헌 설화집에 실린 「양사언 설화(楊士彦 說話)」는 양사언(楊士彦, 15171584)의 출생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양사언 설화」의 가장 이른 형태는 1676년에 김명시(金明時, 1592?)가 편찬한 『무송소설(撫松小說)』에 수록되어 있다. 이로 보아, 「양사언 설화」는 17세기 중반부터 이미 향유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무송소설』에 담긴 설화의 줄거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사언의 부친 양공(楊公)이 삼척 부사로 있을 때에 정선군 우리(郵吏)의 집에 들렀다. 우리에게는 14~15세 된 딸이 있었는데, 그녀의 행실이 기특하여 양공이 흰 부채를 선물로 주었다. 딸은 그것을 예폐(禮幣)라 여기고, 다른 혼인을 거절하고 결국 양공과 혼인하여 양사언 삼 형제를 낳았다. 양공이 죽자, 그녀는 훗날 자신이 죽으면 적자와 서자 간 상복의 차이 때문에 자기가 낳은 자식들이 서자라는 사실이 드러날까 우려하여 자결하였다.

문헌전승 및 구술채록

문헌 설화는 크게 두 계열로 전승되었다. 하나는 『무송소설』의 내용을 계승하되, 양사언 어머니의 죽음이 적자가 상복을 입는 미안함 때문이 아니라 양사언 형제가 서자임을 감추기 위해 자결하는 형태로 이어진 『동패락송(東稗洛誦)』 계열이다. 다른 하나는 양사언 어머니가 자하동에 집을 지어두었다가, 마침 소나기를 피해 들어온 성종에게 양사언 형제를 보임으로써 출세케 하는 『 청구야담(靑邱野談)』 계열이다. 이 외에도 정동유(鄭東愈, 1744~1808)가 편찬한 『 주영편(晝永編)』에도 해당 이야기가 실려 전하는데, 여기에서는 양공의 일이 이광좌(李光佐)의 일로 바뀌었다.

구비 설화는 양사언이 회양(淮陽) 군수로 부임했던 강원도 양양 일대에서 주로 전승되었는데, 문헌 설화와 달리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는 「양사언 설화」가 4편이 채록되어 실려 있다. 강원도 양양군에서 2편, 경상북도 상주군에서 1편, 충청남도 대덕군에서 1편이다. 채록된 내용은 ①고을 수령으로 부임한 소년이 어리다고 얕보는 고을 관속을 혼낸 이야기, ②부적을 써서 조밭에서 조 씨를 까먹는 새들을 잡은 이야기, ③양사언의 글씨가 저절로 날아간 이야기, ④양사언이 신선이 된 이야기이다. 구비 설화는 현실적인 양사언의 면모보다 도술가나 이인(異人)다운 모습에 주목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양사언 설화」는 구비 설화보다 문헌 설화가 지닌 메시지가 더 강하다. 17세기 중반에 쓰인 문헌 설화에서는 양사언의 어머니가 주변 환경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자결하는 모습으로 그려지지만, 19세기의 문헌에서는 철저히 희생적이며 순종적인 어머니로서 자결하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이러한 차이는 어머니와 자식의 애착 양상을 어떻게 읽어낼 것인가를 잘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참고문헌

원전

『무송소설(撫松小說)』
『동패락송(東稗洛誦)』
『계서잡록(溪西雜錄)』
『기문총화(紀聞叢話)』
『청구야담(靑丘野談)』
『동야휘집(東野彙輯)』
『동상기찬(東廂記纂)』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단행본

홍순석, 『양사언 문학 연구』(강남대출판부, 1996)
홍순석, 『양사언의 생애와 시』(강남대출판부, 2001)

논문

김준형, 「야담 수재 어머니와 자식, 주체의 전환과 통증의 깊이」(『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2)
정경민, 「양사언 어머니 설화연구」(『돈암어문학』 3, 돈암어문학회, 2016)
정출헌, 김준형, 「동패락송의 전대 이야기 수용양상」(『동양한문학연구』 57, 동양한문학회, 202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