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북부동 산성 ( )

목차
관련 정보
양산 북부동 산성
양산 북부동 산성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한 석축 성곽. 산성.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산 북부동 산성(梁山 北部洞 山城)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남 양산시 남부동 남부동, 중부동, 다방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한 석축 성곽. 산성.
내용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205,785㎡. 양산시내 동남방 1㎞ 거리에 있는 동산(東山)을 둘러싼 테뫼식산성으로 성곽의 대부분이 파괴되고 초석만 남아 있다.

성벽은 네모난 할석(割石)으로 쌓았는데, 지금은 거의 허물어졌으나 동남부에는 3m가 넘는 견고한 석축이 곳곳에 남아 있다.

이 산성은 북쪽으로 명곡천(明谷川)을 사이에 두고 약 2㎞ 떨어진 신기리산성(新基里山城)과 더불어 양산의 시가지를 발 밑에 두고 멀리 낙동강까지 한눈에 바라보는 조망이 좋은 곳에 위치하였다.

이 산성의 유래나 축성연대에 관하여는 《동국여지승람》에 “옛 산성은 군의 동쪽 3리에 있으며 석축이다.”라고 한 것이 유일한 기록이다.

그러나 대체로 신기리산성과 같은 시기에 같은 목적으로 축성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며, 위치나 축성방식으로 보아 이 두 성은 처음부터 쌍성(雙城)으로 축성된 것으로도 추측된다. 이 산성의 서남쪽 기슭에는 소형의 고분군과 양산패총이 있다.

참고문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문화재대관-사적편-』(문화재관리국, 1976)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