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해납약증치방 ()

목차
관련 정보
언해납약증치방
언해납약증치방
의약학
문헌
납약의 사용법과 복용 시 유의사항을 수록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납약의 사용법과 복용 시 유의사항을 수록한 의서.
내용

1권 1책. 목판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납약의 증상에 따른 사용방법과 그 약을 복용할 때 피해야 하는 사항을 기록한 책으로, 언해문의 한글표기상 특징으로 보아 16세기 이전의 것은 아닌 것 같고, 17세기경에 발간된 것 같다.

이 책은 매년 납월(臘月: 12월)에 내의원에서 그해에 소용될 각종 상비약방을 초록한 것인데, 납월에 조제하므로 납약이라 불렀다.

수록된 납약의 종류는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등 37종류로, 그 약제의 방문·제조방법은 쓰여져 있지 않으나 적응증·용법 및 금기사항에 대하여 먼저 한문으로 쓰고, 이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하여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이들 약제는 대부분이 환약(丸藥)으로 오늘날 말하는 가정상비약이라 할 수 있으며, 당시 부녀자들은 한글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언해하였다고 생각된다.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과 더불어 한의학의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옛날의 한글을 연구하는 데에도 그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김두종, 탐구당, 197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