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영국사 석종형 부도 ( )

목차
관련 정보
영동 영국사 석종형 부도
영동 영국사 석종형 부도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에 조성된 석종형 불탑. 부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동 영국사 석종형승탑(永同 寧國寺 石鍾形僧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6년 01월 05일 지정)
소재지
충북 영동군 양산면 명덕1길 3 (누교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에 조성된 석종형 불탑. 부도.
내용

높이 2.3m. 1996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3매의 판석으로 구성된 지대석 상면에 평면 8각형의 기단을 놓았는데, 하대석 · 중대석 · 상대석으로 구성되어있다.

하대석에는 단엽(單葉) 16판의 복련(伏蓮)을 조식하고, 상면에는 낮은 각형 2단의 받침을 두었다. 중대석의 각 면에는 장방형의 액(額)을 마련한 후 내부에 안상(眼象)을 1구씩 조식하였다. 상대석의 하면에는 각형 1단의 괴임을 조출하였고, 축면에는 단엽 14판의 앙련(仰蓮)을 조식하였다.

탑신부는 석종형(石鐘型)으로, 상면에 낮은 각형 1단의 받침을 마련하였는데 중앙에는 일변 14㎝, 깊이 5㎝의 방형 구멍이 개설되어 있다. 상륜부는 1석으로 조성되었는데, 다른 조형물의 것을 옮겨온 것으로 추정되며, 사면에 장방형의 감실(龕室)이 조성되어 있다.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永同 寧國寺의 遺蹟」(鄭永鎬 , 1969)
「文化遺蹟總攬 上」(文化財管理局, 1977)
「永同 寧國寺」(忠淸大學博物館, 1998)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경식(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