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강현지 ()

목차
관련 정보
용강현지
용강현지
인문지리
문헌
평안남도 용강현(현 용강군)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읍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평안남도 용강현(현 용강군)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읍지.
내용

2권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편년 미상의 『용강현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고, 일제강점기에 편사된 『용강현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상권은 강역(疆域)·도리(道里)··연혁(沿革)·성지(城池)·방리(坊里)·풍속(風俗)·형승(形勝)·산천(山川)·진보(鎭堡)·봉수(烽燧)·공서(公署)·창저(倉儲)·단사(壇祠)·학교(學校)·직역(職役)·병제(兵制)·교방(敎坊)·공세(貢稅)·누정(樓亭)·지대(池臺)·제언(堤堰)·진도(津渡)·교량(橋梁)·장시(場市)·불우(佛宇)·토산(土産), 하권은 성씨(姓氏)·인물(人物)·효열(孝烈)·학행(學行)·의용(義勇)·과공(科貢)·고적(古蹟)·환적(宦蹟)·문적(文蹟)·제영(題詠) 등으로 되어 있다.

성지조에는 황룡성(黃龍城)·고성(古城)·왜성(倭城)·동진성(東津城) 등의 위치·수축경과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산천조에는 산·고개·시내·우물·섬·제방 등이 세밀히 기록되어 있고, 온정(溫井)에서 목욕하여 병을 치료였다는 기록도 있다. 진보조에는 인원과 무기가 첨부되어 있어 지방군사제도의 실상을 알게 한다.

공서조에는 건물·창고의 규모가 기록되어 있다. 학교조와 문적조에는 기성영전(箕聖影殿)이 있어 기자(箕子)의 사적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과공조는 문과·무직(武職)·음직(蔭職)·사마(司馬)로 세분되어 있고, 제영조에는 대제학 박규수(朴珪壽)의 글이 있다.

특기할 사항은 한장석(韓章錫)의 서문에서 구읍리에 대한 내력이 간단히 기록되어 있고, 안기수(安基洙)의 산천지략(山川志略)이 부기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