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예전 ( )

목차
원불교
문헌
원불교 교조 박중빈이 신정의례를 제정하여 1935년에 간행한 교리서.
목차
정의
원불교 교조 박중빈이 신정의례를 제정하여 1935년에 간행한 교리서.
내용

1책. 소태산(少太山)은 1926년 2월 진리에 근거하고 생활에 적합한 예법의 시행을 통하여, 허례(虛禮)를 지양하고 예의 근본정신을 드러내고자 신정의례(新定儀禮)를 제정한 뒤, 이어서 1935년 이 책을 편찬, 발행하였다.

그 뒤 이를 수정, 보강하여 1968년 현행 예전을 발행하였는데, 내용은 통례(通禮)·가례(家禮)·교례(敎禮)의 3편으로 되어 있다.

<통례편>은 개인이 갖추어야 할 몸과 마음가짐, 그리고 대인관계에 있어서 상대방의 인격을 존중하고 공경하는 정신을 밝히고, 사회생활이나 국가나 국제적 교제에서 개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태도와 정신, 행위의 대강(大綱)을 밝히고 있다.

<가례편>은 사실을 위주로 하고 허례를 줄이며, 정신을 주로 하고 형식을 간소화하였다. 이러한 정신을 기반으로 하여 자녀 출생시에 그의 일생이 건전하고 올바른 정신으로 일관되기를 기원하는 출생기원식, 만 20세 성년이 되면 사회에 봉공하는 인물이 되도록 격려하는 성년식이 있다.

혼인은 미신과 허례를 폐지하고 건전한 인격적 결합을 중시하고, 회갑은 일생에 끼친 바 공덕을 찬양하여 뜻있는 여생을 마치도록 하였다.

상장(喪葬)은 건전한 애도의 정표와 미래천도(未來薦度)를 기원하며, 49일 탈복으로 하였다. 제사는 되도록 합동을 원칙으로 하며, 열반인(涅槃人)의 재세 당시 끼친 바 공덕을 추모하고 자손들의 보본정신을 고취하도록 하였다.

<교례편>에서 봉불(奉佛)은 신앙인에게 마음의 귀의처와 수행의 표준을 가르치기 위하여 법신불 일원상(法身佛一圓相)을 봉안하고, 신성을 바치기 위한 의식, 신앙인의 신성과 수련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법회의식이 있다.

경축은 원불교 4대경절(신정절·대각개교절·석존성탄절·법인절)의 정신과 그 절차를 밝힌 것이며, 교회장은 열반인의 교단에 끼친 공적에 따라 장례를 행하는 의식이다.

대재(大齋)는 육일대재·명절대재를 통하여 소태산을 비롯, 교단의 선조와 선성(先聖)을 길이 추모하여 추원보본의 정성을 바치는 의식이다. 그 밖에 득도(得道), 은법결의(恩法結義), 승급, 대사(戴謝), 봉고(奉告), 특별기도, 교의 등의 의식이 있다.

참고문헌

『원불교교고총간』(정화사, 1970)
『원불교교사』(정화사, 197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