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전기술 ()

목차
관련 정보
의전기술
의전기술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육용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육용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7책. 신활자본. 『의전기술』은 1912년 아들 종윤(鍾允)과 손자 정수(定洙)가 간행하였다. 『의전기술』 3책, 『의전문고』 2책, 『의전시고』 1책, 『의전속고』 1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전기술』의 권두에는 육용정의 사진과 김윤식(金允植)이 1891년(고종 28)에 쓴 서문이 있다.

권1은 「논유유품등(論儒有品等)」 · 「논처사유사(論處士儒士)」 · 「논성인현인(論聖人賢人)」 등 진정한 인간상에 대한 논(論)이 18편 실려 있다.

권2에도 14편의 논이 실려 있다. 그 중에 「논군도(論君道)」 · 「논군덕(論君德)」 · 「논치도(論治道)」 등의 올바른 군주상과 통치 법도에 대한 논술이 있어 주목된다. 권3에는 「논명(論命)」 · 「논천지운기(論天地運氣)」 등의 논 8편과 1888년에 쓴 「의전기술자서(宜田記述自序)」, 1902년 황필수(黃泌秀)가 쓴 발문이 있다.

『의전기술』의 자서에 보면, “의전기술이란 무엇인가. 나 의전자(육용정)가 평일에 마음 속에 간직하였던 것을 기술한 것이다. 의전자가 평일에 마음 속에 간직하였던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주1의 법도이다. ……그 글 전편의 뜻을 모두 성현의 경전에서 취한 것은 무슨 이유인가. 그것은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자신의 『의전기술』의 내용을 잘 요약해준 글이다.

『의전문고』의 권1은 서(序) 17편, 서후(書後) 5편, 기(記) 10편, 설(說) 4편, 찬(贊) 3편, 논(論) 7편, 부(賦) 2편, 권2는 전(傳) 5편, 묘지 4편, 행장 2편, 제문 12편, 잡저 14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전문고』의 잡저 중에서 「의전자전(宜田子傳)」과 「몽환진전(夢幻眞傳)」은 육정용의 문학관념을 허구화한 작품으로 주목할 만하다. 『의전시고』에는 칠언율시가 298수, 칠언절구가 24수, 오언율시가 2수, 오언절구가 3수 실려 있어 그의 시적 특징이 칠언율시에 있었음을 보여 준다.

『의전속고』에는 고시장편 28수, 칠언절구 15수, 사(詞) 2편, 칠언사율 127수, 장단사(長短詞) 5편, 오언절구 2수, 오언사율 1수, 서(序) 4편, 기(記) 1편, 제문 1편, 잡저 4편이 실려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도서에 있다.

주석
주1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림.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