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수 ()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고전』, 『한국소설연구』, 『고전문학선』 등을 저술한 학자. 국문학자.
이칭
상산(常山)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2년
사망 연도
1974년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충청북도 진천
정의
해방 이후 『고전』, 『한국소설연구』, 『고전문학선』 등을 저술한 학자. 국문학자.
개설

충청북도 진천(鎭川) 출신. 본관은 경주(慶州). 아호는 상산(常山). 이봉섭(李鳳燮)의 넷째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 한문을 공부하다가 진천보통학교를 거쳐 1933년에 청주고등보통학교, 이어 1938년에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한국고전문학 전공)를 졸업하였다. 그 뒤 1945년 조국이 광복될 때까지 황해도 재령 명신중학교(明信中學校)와 배재중학교(培材中學校) 교사를 지냈으며, 1946년 국학대학 교수, 이듬해 연희대학교 조교수로 취임, 그해 9월에 사임하였다.

숙명여자대학과 중앙대학 강사로 출강하다가 1948년 대구대학(현 영남대학교) 교수로 2년간 재직하였으며, 1950년 4월 대구사범대학(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수로 취임한 이래 1974년 12월까지 25년간 재직하였다. 1961년부터 10여 년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장 겸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장으로 재직하였으며, 1965년 경북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약 40여 년 동안 외길로 교육계에 투신하여 많은 교육자와 학자를 길러내었다. 특히 광복 후 대학 교수로 취임한 이래 30여 년간 우리 국문학계의 여명기에 있어서 그 학문적 기조를 다졌다. 일제의 질곡(桎梏) 속에서도 일찍이 민족문학의 귀중함을 선각하여 경성대학 조선어문학과에 진학, 논문 「윤고산연구(尹孤山硏究)」로 학부를 졸업한 뒤, 당시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 국학연구에 몸을 바쳤다.

저서

저서로는 『윤고산연구』(1956)·『고전(古典)』(1967)·『한국소설연구』(1969)·『고전문학선』(1972)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한국소설 발달단계에 있어서의 중국소설의 영향」(1956)·「박혁거세전설논고(朴赫居世傳說論考)」(1960)·「주몽전설논고(朱蒙傳說論考)」(1964), 「시조(時調)엔 유배지가 없다 -윤선도(尹善道)-」(1965) 등이 있다.

그리고 「박연암(朴燕岩) 소설논고 -호질(虎叱)과 허생전(許生傳)을 중심으로-」(1966), 「금오신화(金鰲神話)의 연구」(1966), 「양반전 논고」(1966), 「혈(血)의 누(淚) 연구」(1968), 「춘향전 이본고 -상산본(常山本)을 중심으로-」(1968), 「화전가(花煎歌) 연구」(1972) 등이 있다. 유고집으로 『내방가사연구』가 있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경북문화상을 수상하였고, 1976년 제자들에 의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냉천성결교회 묘지에 묘비가 세워졌으며, 비명은 서수생(徐首生)이 짓고 썼다.

참고문헌

『상산이재수박사환력기념논문집』(형설출판사, 197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