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휴정 ()

목차
관련 정보
울산 이휴정 정측면
울산 이휴정 정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울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조선후기 울산도호부 객관의 남쪽 문루였던 누정.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이휴정(二休亭)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지정기관
울산광역시
종목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1997년 10월 09일 지정)
소재지
울산광역시 남구 이휴정길 20 (신정동, 이휴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울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조선후기 울산도호부 객관의 남쪽 문루였던 누정.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 학성이씨(鶴城李氏)의 정각이다. 1662년(현종 3) 이동영(李東英)이 건립한 이미정(二美亭)을 1666년에 개칭한 것이다.

현재의 건물은 본래 울산도호부의 객관(客館) 학성관의 남문루였으나, 1940년 이를 철거하게 되어 이씨문중에서 신정동으로 옮기면서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개축하였다.

이휴정에는 1666년(현종 7)에 죽은 이천기(李天機)와 그의 부인 흥려박씨(興麗朴氏)의 합장묘에서 출토된 복식품 7종 9점이 있는데, 학성이천기일가묘출토복식은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는 조선시대 복식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