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931년 손자 재우(在佑)와 문인 홍승조(洪承祚)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노상직(盧相稷)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병규(趙昺奎)·재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23수, 서(序)·포장(褒狀)·상량문·비(碑) 각 1편, 권2에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갈명·묘지명·제문·만사·죽초기(竹樵記)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발문 뒤에 동연계서(同淵契序)와 동연록(同淵錄)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분량은 많지 않으나 산수시·영물시·감상시 등이 고루 실려 있다. 「백구(白鷗)」·「귤(橘)」·「죽(竹)」 등에는 사물의 특성을 포착하여 묘사하는 데 주력하고 관성이나 일반적인 관찰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여실히 나타나 있으며, 「강촌즉경(江村卽景)」·「촉석루(矗石樓)」에서는 경치를 묘사하고 명승고적의 역사적 의의와 묻혀 있는 전설들을 상기시키면서 사라져가는 문화의 재조명을 시도하였다.
「향사당계서(鄕射堂契序)」는 향사당계를 조직하고 그 경위와 운영방침을 밝힌 것이고, 「포장」은 정시갑(鄭時甲)의 아내 권씨(權氏)의 탁월한 효행을 낱낱이 기록하여 지방수령에게 포상을 청한 것이다.
「동연록」에는 저자의 문인 128명의 성명·자·본관·거주지가 적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