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청동 중앙교육연수원 청사 내에 본부를 두고 있었다.
1985년 8월 각급학교의 학력평가, 국가 수준의 각종고사 관리, 교육평가 관계의 연구·지원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중앙교육연수원에서 분리, 중앙교육평가원으로 개원하였다.
총무과·평가기획부·출제관리부·고사운영부로 운영하여 오다가 새로 마련된 독학에 의한 학위취득제 업무의 관장으로 1990년 총무과·평가기획부·출제관리부·고사운영부·독학학위관리부로확대·개편되었다.
1992년 3월에 국립교육평가원(國立敎育評價院)으로 이름을 변경하여 조직을 평가기획부·학력평가부·고사운영부·학위검정부·총무부로 편성하였으며, 평가기획부는 평가기획실·평가연구실·정보자료실·전산실로 구성되었고, 학력평가부는 초등학교학력평가실·중학교학력평가실·고등학교학력평가실로, 고사운영부는 고사운영1과·고사운영2과·출제관리1실·출제관리2실로, 학위검정부는 학위관리과·검정운영과·교양과정실·전공과정실로 구성되었다.
1997년 12월에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의 연구·개발을 위한 연구부서와 합병되어 폐지되고, 1998년 1월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韓國敎育課程評價院)으로 새로이 발족되었다.
주요업무는 전국초·중·고학업성취도검사, 국제교육성취도비교연구, 대학수학능력시험관리, 국비유학생선발시험, 대학연구기관 전문연구요원 추천대상과 선발시험, 교감자격 연수대상자 선발시험, 독학에 의한 학사학위검정 등이었다.
학위취득업무는 1990년에 교양과정인정시험, 1991년에 전공 기초과정인정시험, 1992년에 전공 심화과정인정시험, 1993년에 학위취득종합시험을 시행하여 1994년 우리나라 교육사상 처음으로 독학에 의한 학위취득자를 배출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