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희정당 ( )

목차
관련 정보
창덕궁 희정당
창덕궁 희정당
건축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 임금이 정사를 보던 전각. 보물.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 임금이 정사를 보던 전각. 보물.
내용

198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11칸, 측면 4칸의 2익공식 팔작지붕건물. 창덕궁의 편전(便殿)은 본래 선정전이었는데, 이 건물은 내전에 속한 건물이었으나 조선 후기에 이 건물을 편전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건물의 창건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며, 1496년(연산군 2)에 궁내의 수문당(修文堂)이라는 건물이 소실되었다가 재건되면서 당호를 희정당이라고 바꾸면서 창덕궁의 한 건물로 등장하게 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9년(광해군 1)에 창덕궁이 재건될 때 다시 지어졌으며, 다시 인조반정 때 소실되었다가 1647년(인조 25)에 재건되었다. 이 때에는 인경궁(仁慶宮)의 건물을 철거하여 그 자재로 세웠다. 1833년 또다시 소실되어 이듬해 재건되었으나 1917년에 화재로 타 버리고 1920년에 다시 세워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이 여러 차례 불에 탔다가 재건되면서 규모도 달라지고 건물의 용도도 바뀌었는데, 처음에는 규모가 크지 않았던 것 같다. 인조 때 재건될 때에는 15칸에 지나지 않았으나 뒤에 편전으로 이용되면서 규모가 늘어나 현재의 큰 건물이 되었다.

희정당은 외전에 속하는 인정전·선정전의 동쪽에, 외전건물들과는 축을 약간 달리하여 놓여 있으며, 희정당의 북쪽에는 내전의 정당인 대조전이 있다. 건물 앞의 왼쪽에 연못이 있고 작은 뜰이 마련되어 있었으나, 1920년에 재건되면서 건물 남면에 자동차의 진입을 위한 돌출된 지붕이 설치되는 등 많은 개조가 이루어졌다.

장대석을 5단 쌓은 기단 위에 모난 초석을 놓고 방주를 세웠다. 외진주(外陣柱 : 바깥기둥) 위에 창방을 돌리고 일반적인 형태의 2익공을 결구하였으며, 주칸에는 운공(雲工 : 장여와 도리를 가로 받친 물건)을 두어 주심도리를 받게 하였다.

익공의 내부는 보아지가 되어 퇴량을 받게 하고, 퇴량의 내부는 고주에 결구되었다. 고주 상부는 팔각(八角)인 주두를 놓고 그 위에 사각(四角)의 재주두를 두어 대들보를 받았으며, 대들보 상부에 붙여 우물천장을 가설하였다. 지붕은 각 마루를 양성하고 용두·잡상을 두었다.

정면 9칸, 측면 3칸을 거실로 하고 주위는 툇간으로 하여 통로로 사용하였는데, 이 중 정면 3칸을 통칸으로 하여 응접실로 하고 서쪽은 회의실로 꾸미고 동쪽은 여러 개의 방으로 나누었다.

이 건물은 1920년에 재건할 때 한식을 위주로 하면서 양식을 가미하여 응접실과 회의실은 바닥마루, 유리창문, 문 상부의 휘장, 벽체 등을 양식으로 꾸미고 양식 탁자를 놓았다. 현재 응접실 좌우에 김규진(金圭鎭)의 <금강산도>·<해금강도>가 있다. 조선 말기와 한말에 걸친 궁궐편전의 건축형태를 남기고 있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궁궐지』
『창덕궁수리도감의궤(昌德宮修理都監儀軌)』
『창덕궁영건도감의궤(昌德宮營建都監儀軌)』
『서울특별시사』-고적편-(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63)
『조선조왕궁중요건축물지정조사서』(문화재관리국, 1984)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