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불산 ()

목차
자연지리
지명
함경남도 신흥군 서고천면과 원평면(지금의 신흥군과 영광군 경계)에 걸쳐 있는 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함경남도 신흥군 서고천면과 원평면(지금의 신흥군과 영광군 경계)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1,455m. 신흥면에서 서쪽으로 약 10㎞ 떨어진 이 산은 부전고원(赴戰高原)의 남단에 위치하며 북산(北山, 2,070m)·오봉(五峰, 1,812m)으로 이어져 내려온다.

남쪽 계곡을 따라 금광산이 3,4개 있으며 중턱에는 백악폭포(白岳瀑布)와 개심사(開心寺)·중천사(中天寺)·쌍계암(雙溪庵)·향적암(香積庵) 등의 사찰이 있다.

이 곳은 석불(石佛) 형상의 암석이 수백개나 있어 천불동 계곡이라 부른다. 여기서 천불산도 유래하였다. 천불산 봉수대는 고원군의 웅망산(熊望山)과 문천군의 유현(楡峴) 봉수 등과 연결된다.

정상으로 오르는 길은 남쪽 계곡을 따라 나 있고, 계곡 주변에 산촌(散村)이 나타난다. 산의 북사면에 화강편마암의 거대한 절벽이 웅장하고 사찰이 많아 등산객과 수도를 위한 관광객들이 많이 모여든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관북읍지(關北邑誌)』
『함산지(咸山誌)』
『함경남도지(咸鏡南道誌)』(함경남도지편찬위원회,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