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효음 ()

목차
고전시가
작품
1645년(인조 23)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645년(인조 23)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의 하나로 작자의 문집인 『고산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2차 유배에서 풀려나 금쇄동(金鎖洞)에서 자연을 벗삼고 은둔생활을 할 때 그의 유유자적한 심회를 노래한 것인데, 추운 겨울이 지나가고 따스한 봄기운이 온 산에 어리자 새벽에 지게를 열고 돋는 해를 맞는 유인(幽人)의 잔잔한 감회를 차분하게 노래하고 있다.

내용 및 평가

주제는 자연사상만을 벗삼고 사는 은자의 조촐한 모습을 노래한 것으로 작자의 많은 작품들이 자연을 노래하고 있지만 이 작품은 다른 작품들, 즉 「오우가」나 「어부사시사」와는 달리 유인의 모습이 퍽 정적으로 노래되고 있어 또 다른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한자어들이 비교적 많이 등장하여서 딱딱한 감이 있으나 작품의 전체 분위기를 끌고가는 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제목 자체도 그렇지만 초장에서의 엄동과 설풍, 종장에서의 떠오르는 태양은 어떤 상징성, 즉 어둠은 멀어져가고 밝음이 도래함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고산선생유고(孤山先生遺稿)』
『고산윤선도연구(孤山尹善道硏究)(문영오, 태학사,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