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학교 ()

목차
관련 정보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단체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개신동에 있는 국립종합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개신동에 있는 국립종합대학교.
연원 및 변천

1951년 9월에 도립청주초급농과대학으로 설립되었다. 민족문화 창달의 요람인 대학의 필요성을 절감한 유지들과 도민의 열망에 힘입어 1949년 4월에 도지사를 회장으로 하는 창립기성회를 결성하였다.

이에 1950년 5월 문교부로부터 가인가를 받아 개강을 서둘렀으나 6·25전쟁의 돌발로 연기되었다가, 1951년 9월 농학과 60명, 축산학과 60명을 모집하여 지금의 청주농업고등학교 시설을 사용하여 개교하였다.

1953년 1월에 청주농과대학으로 승격되었고 초대 학장에는 조현하가 취임하였으며, 1955년 3월에 제1회 졸업생 97명을 배출하였다. 학과는 농학과와 축산학과 외에 임학과를 신설하였으며, 학생정원을 560명으로 편성하였다.

그 뒤 지역사회의 농학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전문 분야에서 학문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하여 약학과가 증설되면서 1956년 4월 도립충북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이와 함께 청원군 사주면 개신리 소재 임업시험장과 농도원, 복대리 소재 종축장(種畜場)을 통합하여 현 교지를 마련하고 대학 이전을 완료하였으며, 이듬해에는 체육학과를 신설하였다.

1962년 3월에는 <국립학교설치령> 개정으로 충청남도 대전 소재 도립 충남대학교와 통합되면서 국립충청대학교로 개편, 대전캠퍼스에는 공과대학, 문리과대학을 설치하고 청주캠퍼스에는 농과대학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2개 도에 하나의 대학교를 설치함으로써 교육행정상의 어려움이 많아 1963년 3월에 다시 원래대로 분리, 국립충북대학으로 개편하여 기존의 5개 학과 외에 농산제조학과, 농업토목학과를 설치하여 7개 학과를 설치하였다.

같은 해 12월에 가정학과, 1967년에 연초학과와 화공학과를 신설하였고, 1968년에는 대학원 석사과정을 설치하였다. 1969년에는 영어교육학과를 비롯한 4개 학과가 신설되었고 1970년에 중등학교교원양성소를 부설하여 2년에 걸쳐 3기 240명의 교원을 양성하였다.

1973년에 대학원 박사과정을 설치하였고, 1975년에는 교육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77년 12월에 종합대학교로 개편되어 공과대학·농과대학·사회과학대학·사범대학의 4개 단과대학 27개 학과를 설치하였으며, 이듬해 3월 초대총장에 정범모(鄭範謨)가 취임하였다.

1979년 3월에 약학대학과 자연과학대학, 1980년 3월에 인문대학을 신설하고 공과대학의 건설공학계열(건축 및 토목)이 특성화 계열로 인가되었다. 1987년 11월에 행정대학원, 1988년에 법과대학, 1989년에 산업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91년에 경영대학원, 1993년에 수의과대학을 신설하였다.

현황

2014년 현재 13개 단과대학(인문대학·사회과학대학·자연과학대학·경영대학·공과대학·전자정보대학·농업생명환경대학·법과대학·사범대학·생활과학대학·수의과대학·약학대학·의과대학), 7개 학부, 73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원은 9개(일반대학원 1, 특수대학원 6, 전문대학원 2)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년 역량 있는 석·박사를 배출하고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도서관·박물관·전자계산소·기숙사·대학신문사·공과대학부속공장·농과대학부속농장·농과대학부속연습림·농과대학부속동물사육장·농과대학부속가축병원·사범대학부설중등교원연수원·약학대학부속실습약국·약학대학부속약초원 등이 있으며, 부설연구소로는 엽연초연구소·약품자원개발연구소·기초과학연구소 등이 있다.

1985년에 신축된 도서관에는 40만여 권의 장서가 소장되어 있고, 1970년에 설립된 박물관에는 골각제품, 금속 및 옥석제품 등 3,000여 점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교훈은 ‘진리(眞理)·정의(正義)·개척(開拓)’으로 되어 있다.

10월에는 ‘개신축제’를 개최하여 학술활동, 체육대회, 발표회, 전시회 등을 열고 있다. 70여 개의 동아리를 중심으로 활발한 학생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충북대신문』은 1955년 5월에 창간되어 격주간으로 발간되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