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룬 (Cameroon)

카메룬의 국기
카메룬의 국기
외교
지명/국가
아프리카 중서부 대서양 연안에 있는 공화국.
이칭
이칭
카메룬 공화국, Republic of Cameroon
정의
아프리카 중서부 대서양 연안에 있는 공화국.
개관

정식 명칭은 카메룬공화국(Republic of Cameroon)이며, 대서양 연안 해안선의 길이는 402㎞이다. 면적은 47만 5440㎢, 인구는 237만 39218명(2015년 현재)이며, 수도는 야운데(Yaounde)이다. 종족 구성은 카메룬고원족 31%, 적도반투족 19%, 키르디족 11%, 후라니족 10% 등이며 이밨에 200여 부족이 있다. 언어는 프랑스어와 영어, 그리고 원주민어가 사용된다. 종교는 기독교 40%, 이슬람교 20%, 토착종교 40% 정도이다.

주요 자원은 산출량 세계 5위의 카카오·면화·커피·목재·천연고무 등이며, 석유도 생산되고 있어 외화획득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15년 현재 국민총생산은 321억 달러, 1인당 국민소득은 1,407 달러이다.

이 나라는 임기 7년의 대통령 중심제의 공화국으로, 의회는 임기 5년의 단원제(180석)이다. 주요 정당으로는 카메룬인민민주당(RDCP), 사회민주전선(SDF) 등이 있다.

약사

1884년부터 1916년까지 독일의 식민지통치를 받았고, 독일의 패전 후 영국과 프랑스의 분할통치를 받던 중 프랑스 통치하의 동부카메룬은 1960년에 독립하였으며, 영국령 중 북부는 나이지리아와 통합되고, 남부는 동부카메룬과 각각 통합됨에 따라 1961년 10월 1일 연방공화국이 탄생하였다. 독립 초부터 적극적으로 외국기술과 자본을 도입하여 제조업육성을 추진하였으며, 풍부한 자원과 더불어 정치적 안정과 경제의 활성화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어, 경제발전의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1972년 5월 헌법을 제정하여 1984년 1월 개정하였으며, 국호는 1984년 카메룬연방공화국에서 카메룬공화국으로 변경하였다. 1982년 11월 권력을 승계한 바야(Paul Baya) 대통령이 정부를 이끌고 있다.

기본 외교정책으로는 중도중립의 비동맹노선을 표방하고 있으나, 프랑스 및 기타 서구제국과의 긴밀한 관계로 사실상 친서방의 경향을 띠고 있다. 1960년 유엔에, 1964년 비동맹회의에 가입하였다.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는 1960년 1월에 카메룬 독립을 승인하여, 1961년 8월 10일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하였다. 1969년 1월에 상주공관을 개설하였으나, 1998년 8월 철수하였다가 2008년 09월 다시 상주공관이 개설되어 현재 2014년 11월 부임한 한국대사가 상주하고 있다.

양국은 1977년 11월 경제통상일반 협정을 체결하고, 1979년 5월에는 무역 협정, 1985년 8월에는 문화 협정을 체결하였다. 또한 남남협력의 차원에서 카메룬에 의료단을 파견하고, 의약품·의류·차량 등의 무상원조와 기술연수생 초청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카메룬 수출액은 2015년 현재 3,081만 달러고, 수입액은 4,270만 달러이다.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에는 23명의 선수단이 참가하였으며, 2007년 현재 타이거 상사, 국제종합건설 등의 업체가 진출해 있으며, 100여 명의 한국민 체류자가 있다.

한편, 북한은 1972년 3월 3일에 수교하였으며, 그해 8월에 상주공관을 개설하였으나 1995년 4월 철수하고, 2008년 주 콩고민주공화국 대사가 그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양측은 1977년 10월 친선 및 협조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고, 1981년 1월에 무역 협정, 1985년 6월에 경제과학기술 및 문화 협조에 관한 협정, 1990년 11월에 상품교환기술 및 보건 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참고문헌

『세계각국편람』(외교통상부, 2008)
『한국의 창』(동아일보사, 2008)
『해외동포현황』(외교통상부, 2007)
『세계무역통계』(한국무역협회, 2007)
『주요수출입통계』(관세청, 2007)
『제3세계론』(신정현, 일신사, 1986)
『아프리카 아프리카』(최평규 편, 국풍, 1983)
『아프리카정치론』(하경근, 일조각, 197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백태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