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여지향 ()

목차
현대문학
문헌
일조각에서 송욱의 시 「장미」 · 「비오는 창」 · 「꽃」등을 수록하여 1961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조각에서 송욱의 시 「장미」 · 「비오는 창」 · 「꽃」등을 수록하여 1961년에 간행한 시집.
내용

B6판, 282면. 1961년 일조각(一潮閣)에서 발간하였다. 모두 78편의 시가 9부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고, 앞에 작자 서언(序言)과 <어머님께>라는 권두시가 있다. 체재상 특이한 점은 제7부와 제8부에만 각각 ‘하여지향(何如之鄕)’·‘해인연가(海印戀歌)’라는 소제목이 붙어 있는 점이다.

제1부에는 <장미>·<비오는 창>·<꽃>·<금 金>·<승려의 춤> 등 9편, 제2부에는 <쥬리에트에게>·<햄릿트의 노래>·<맥크베스의 노래>·<라사로>·<유혹> 등 5편, 제3부에는 <그 속에서>·<생생회전 生生回轉>·<실변 失辯>·<시인 詩人> 등 7편, 제4부에는 <왕소군 王昭君>·<비단 무늬>·<기름한 귀밑머리> 등 7편, 제5부에는 <낙타를 타고>·<거리에서>·<그냥 그렇게>·<서방님께> 등 14편이 실려 있다.

제6부에는 <남대문>·<홍수>·<의로운 영혼 앞에서>·<어느 십자가> 등 4편, 제7부 ‘하여지향’에는 일련 번호가 매겨진 연작 형태의 시 12편, 제8부 ‘해인연가’에는 역시 일련 번호가 매겨진 시 10편, 제9부에는 <무극설 無極說>·<우주가족>·<삼선교>·<소요사 逍遙詞> 등 10편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의 시편들은 시집이 발간되기 전 10여 년간 쓰여진 것들을 묶은 것으로 대체로 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수록 작품들은 작자의 풍자적 경향을 잘 드러내고 있는데, 시인은 여기서 이 사회를 ‘별난 마을’로 비꼬고 있다.

또한, 시속과 세태의 이모저모도 풍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시적 소재가 따로 있는 게 아니라는 입장이 대담하게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전위적 요소도 없지 않다. 그러나 이 시집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다각적으로 실험되고 있는 말놀이 성향이다.

“망신(亡身)과 망명(亡命)을 잃은 망령(亡靈)들”에서 보는 두운(頭韻) 및 “야당이 아니라/여당이드라. /당이 아니라/사람이드라.”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각운(脚韻)의 시도는 우리말의 시적 잠재 가능성에 대한 실험적 탐구의 일종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말놀이 시도에서 뜻과 음상(音相)이 결합하여 그나마 의미 있는 발화(發話)로 이어지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현금이 실현하는 현실 앞에서/다달은 낭떠러지!”, “회사같은 사회가/호랑이처럼/납뛰며 덤벼드는 꿈을 잃었다”, “시시한 시시비비” 등과 같은 펀(pun : 同音異義의 말을 장난삼아 쓰는 것)의 경우이다.

이러한 다채로운 말놀이의 시도는 그것대로 재미있는 것이지만, 중요한 것은 그것이 ‘망종(亡種)이 펼쳐가는 만물상’을 드러내면서 1950년대의 시대상을 보여주려 했다는 점이다.

대표작으로 일컬어지는 <하여지향 일(壹)>에서도 만물상적인 세태를 풍자하는 면모가 분명히 드러난다. 그러나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적되는 결함은 작품의 조직원리에 관한 것이다.

낱낱의 시행에서 보여주는 말놀이가 균질감과 일관성을 지니면서 통합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말놀이의 대부분이 술자리의 재담이나 육담(肉談), 또는 사담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것도 큰 결함 중의 하나이다.

참고문헌

『비순수의 선언』(류종호, 신구문화사, 1962)
『한국대표시평설』(정한모·김재홍 편, 문학세계사,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