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 (Catholic)

목차
천주교
단체
1958년에 설립된 가톨릭 노동청년단체.
목차
정의
1958년에 설립된 가톨릭 노동청년단체.
내용

젊은 근로자들이 고귀한 이상을 지니고 근로의 신성함과 존엄성을 인식하며, 근로의 가치와 근로자로서의 보람을 일깨우기 위하여 조직하였다.

원래 이 단체는 1958년 3월 서울대학교부속병원 간호사 10여 명이, 1925년 벨기에에서 창립된 ‘가톨릭노동청년회(JOC)’에 관한 책자를 연구하다가 6월에 당시 가톨릭신학대학 교수인 박성종(朴成鍾)을 지도신부로 하여 회합을 갖게 된 데서 출발하였다.

그 뒤 가톨릭노동청년회의 창설자인 조셉 카르딘 주교가 내한하여 그해 11월 17일 명동성당에서 주교 집전 아래 9명의 투사가 선서식과 미사를 봉헌함으로써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이어 그 투사들은 정식으로 팀을 조직하고 각 본당과 직장조직을 확장하기 시작하여 이를 바탕으로 1960년에 서울교구연합회가 결성되었다.

1961년부터는 점차 지방교구로 확산되어 10월 21일 전국연합회가 발족하였다. 같은 해 11월에는 한국천주교 주교회의에서 가톨릭평신도단체로 정식 인준을 받는 한편, 국제가톨릭노동청년회에도 정식으로 가입하였다.

이 청년회의 초기 활동은 빈민촌 무료진료, 윤락여성 선도, 서독파견 간호사와 광부들을 위한 활동, 가정부 생활실태조사 등이 주였다. 그 뒤 1960, 1970년대에 이르러 산업화와 함께 급증한 근로청년들을 활동대상으로 하여 각 산업체의 노동조합 결성, 임금인상 등 처우개선활동, 노동 강좌, 직업여성실태조사 등 노동자들의 인권신장과 복지향상을 위한 활동이 중심이 되었다.

그 와중에서 청년회는 1968년의 강화도 심도직물 사건, 1970년의 전태일 분신사건 등을 겪게 되었고, 그 활동은 경제 투쟁 중심, 인권 운동의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면서 정부의 탄압으로 위기에 빠지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는 1980년대 초까지 계속되었다. 그러자 일부 노동자 회원들은 공단지역으로 들어가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실시해 나갔다. 또한 진취적인 회원들은 1984년 3월에 가톨릭노동사목연구소를 창립하여 노동법 개정, 현장 실태조사, 노동자의 권익문제 등에 뛰어들었다.

이어 1987년에 가톨릭노동사목전국협의회가 결성되고, 청년회의 활동은 대외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단결을 유지하면서 자주·민주·통일 운동까지 지향하게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 사회가 변화하면서 가톨릭노동청년회는 위기 상황을 맞게 되었다. 즉 대학 진학률의 증가로 노동청소년과 청년이 감소하였고, 노동 형태가 유연해지면서 노동자 인식 또한 희박해졌다. 아울러 다양한 노동운동단체들도 생겨나고 있었다.

이에 가톨릭노동청년회는 운동의 방향을 노동운동 중심에서 생활운동 중심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면서 노동 청년의 복음화와 가톨릭노동청년회의 대중화를 위한 캠페인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 주교회의에서는 1999년에 가톨릭노동청년회가 전국연합회 형태에서 교구 중심으로 활동하는 협의체로 전환하도록 결정하였다. 이에 ‘가톨릭노동청년회전국연합회’는 10월에 ‘가톨릭노동청년회전국협의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0년대 가톨릭노동청년회의 생활운동은 계속되고 있으며, 회원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갖고 관찰 · 판단 · 실천의 방법에 입각해서 자신들의 삶을 성찰하는 가운데 삶의 현장에서 복음 정신을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25년사』(가톨릭노동청년회, 분도출판사, 1986)
『가톨릭노동청년회의 지침』(가톨릭노동청년회, 1978)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