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교학회 ()

도교
단체
1982년 5월에 창립된 우리나라 도교를 연구하는 학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82년 5월에 창립된 우리나라 도교를 연구하는 학회.
연원 및 변천

이종후(李鍾厚) · 이항녕(李恒寧)을 고문으로 하고 도광순(都珖淳)이 주축이 되어, 도교학 · 종교학 · 한의학 · 중문학 · 예술 및 기타 도교학에 관심이 있는 재야 인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는 500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는 가운데, 우리 나라에서 전문적으로 도교를 연구하기 위하여 발족한 최초의 학회이다.

중국을 위시한 동아시아의 문화가 유교 · 불교 · 도교의 3교 문화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이 학회가 발족되기 이전에는 아직 도교적 문화에 대한 이해가 심히 부족했고 또 이에 대한 연구도 미진한 상황이었다.

이에 동아시아의 도교 특히 한국 도교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면서, 이 학회는 도교 및 도가철학의 연구, 동아시아 지역의 종교사상의 연구, 한국의 전통사상 및 종교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연구 발표회 및 강연회, 도서간행, 국제 학술교류, 학회지 발간 및 기타 이 학회의 목적 수행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들을 수행하였다.

그 동안 이 학회는 이 방면의 연구 관심을 일깨워 상당한 수의 도교 연구자가 생겨나게 했을 뿐만 아니라, 미개척 상태에 있던 우리 나라 도교학 분야에 상당한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지금까지 정기적으로 학술발표회를 개최하였으며, 4회의 국제 학술발표회를 개최하였다. 국제 학술발표회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회는 1986년 「동아시아 문화와 한국문화」라는 주제로, 제2회는 1988년 「동아시아의 도교문화와 과학」이라는 주제로, 제3회는 1992년 11월 14일 한국문예진흥원에서 「도가사상과 신선사상」이라는 주제로, 제4회는 1994년 8월 27일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현대문화와 도교」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하였다.

학회지 『도교학연구(道敎學硏究)』를 제21집까지 발간하였고, 『동아시아 문화와 한국문화』 · 『도교와 과학』 · 『신선사상와 도교』 · 『도가사상과 도교』라는 제목의 네 책의 단행본을 발간하였다.

이 학회에서 지금까지 연구 · 발표한 논문의 대체적인 주제와 내용은 한국의 고대신화(古代神話), 한국의 원시종교(原始宗敎), 한국의 상고사, 단군신화, 풍류도(風流道), 신선사상, 노장사상, 유(儒) · 불(佛) · 도(道, 仙) 3교의 관계, 도교와 제과학의 관계, 도교와 중국 문학의 관계 등이다.

현황

학회지 『도교학연구(道敎學硏究)』를 발행하였으나 2007년 21집 이후로 발간이 중지되었다. 이런 침체된 분위기를 일신하고 신진학자의 연구의욕을 고취하고자 학회 창립 30주년을 맞이하는 2012년에 인산의학도교학술원의 후원으로 도교학술상을 제정하였고, 2013년에 제1회 도교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2014년에 한국도가철학회와 통합하여 한국도가도교학회가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도교학회 홈페이지(http://daoism.kr)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