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공학회 ()

과학기술
단체
임산학(林産學) 분야의 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임산학(林産學) 분야의 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설립목적

목재이학 · 목재화학과 관련된 학문 연구를 통하여 학술정보의 교류와 기술의 활성화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72년에 현 한국목재공학회(韓國木材工學會)의 전신인 한국목재공업기술협회(韓國木材工業技術協會)를 설립하였고, 1973년에는 학회지 《목재공학》을 창간함과 동시에 한국과학기술단체연합회에 가입하였다. 1978년엔 '한국목재공학회'로 학회 명칭을 변경하였다.

1980년에는 제1회 국제임산공업 학술심포지움을 서울대학교에서 개최하였고, 1990년에는 제3회 국제임산공업 학술심포지움을 개최하였다. 2002년에는 학회지 학회지 《목재공학》이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다. 2005년에는 한중 Joint Conference를 중국 연길에서 개최하였다. 2008년에는 "동북아 목재산업의 비전 및 발전전략"이라는 국제 심포지움을 개최하였다.

2010년에는 「국산재 이용 한옥표준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을 수행하였고, 2012년에는 학회지가 SCOPUS에 등재되었다. 2020년에는 '목재연구소'를 개설하였다.

현황

학회지 《목재공학》을 간행하고 있으며, 업계의 기술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술정보도 발간하고 있다. 연구자의 연구의욕 고취를 위해 학술대상, 기술상, 국제 우수논문상, 신진학술상 등을 제정하여 수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목재공학회 홈페이지(https://www.kswst.or.kr)
집필자
정대교(건국대학교, 임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