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생태학회 ()

과학기술
단체
호소 · 하천 · 지하수 · 온천 등 내륙에 있는 수체에 관한 학술연구 및 그 응용에 관한 학술과 기술의 발전 및 보급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이칭
이칭
한국육수학회(韓國陸水學會), 한국하천호수학회(韓國河川湖水學會)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호소 · 하천 · 지하수 · 온천 등 내륙에 있는 수체에 관한 학술연구 및 그 응용에 관한 학술과 기술의 발전 및 보급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개설

육수학(陸水學) 분야의 과학기술 진흥에 이바지하기 위해 1967년 5월 13일 초대회장을 정문기(鄭文基)로 하여 설립되었다. 육수학은 육수의 물리 · 화학 · 지질 그리고 생물을 연구하는 4개의 큰 분야가 있고, 여기에 고육수학(Paleolimnology)과 같이 시 · 공간적 변화에 관여하는 모든 자연과학분야의 연구가 주류를 이룬다.

우리 나라는 물론 세계적인 물부족 현상과 이에 따른 수자원의 개발과 보전에 필수적인 육수학 연구는 새천년을 위한 미래 · 거대 학문이 되고 있다. 창립 이후 육수학 및 이에 관련된 학술 연구 및 조사, 회지 및 연구발표회와 강연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 회와 목적을 같이하는 국외 단체와의 교류 및 정기적인 연구발표회 등의 사업을 수행하여 왔다.

연원 및 변천

본 학회는 1974년에는 한국생물과학협회에, 1979년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 1987년에는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에, 1996년에는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에 가입하였다. 그리고 1996년 11월에 과학기술부에 사단법인 단체로 등록하였다. 이어 2008년에 한국하천호수학회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2024년에 한국수생태학회(韓國水生態學會, Korean Society of Limnology)로 명칭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기능과 역할

학술활동으로는 1968년 12월 국문 학술지인 《한국육수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Limnology)》를 창간하였다. 1977년에는 영문 학술지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를 창간하였고, 1992년에 국제 표준연속간행물 (ISSN 1225-1437)로 등록되었다. 2002년에는 《한국육수학회지》가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가 되었다.

이후 학술지는 국문과 영문 학술지로 나누어 발간하고 있는데, 국문 학술지 《한국육수학회지》는 《생태와 환경》으로 변경하여 발간되고 있으며, 영문학술지는 SCOPUS에 등재되었다. 국문 학술지는 한국수생태학회에서 발행하고, 영문학술지는 한국생태학회와 공동으로 발간하고 있다.

학술 활동으로는 국제 하천 · 호수 환경 심포지움(ISRLE : International Symposium on River and Lake Environments)이 한국 · 중국 · 일본 · 베트남 · 미국 · 캐나다 그리고 독일을 중심으로 1981년 5월에 강원대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2년마다 한 · 중 · 일 국가가 교대로 개최하고 있다. 1997년 5월에는 창립 3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을, 2021년에는 국제육수학회(SIL, International Society of Limnology)와 공동으로 제35차 세계하천호수학대회(SILCongress)를 광주광역시에서 개최하였다.

참고문헌

홈페이지(http://www.ksl.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