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흥지 ()

목차
관련 정보
함흥지
함흥지
인문지리
문헌
함경도 함흥부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읍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함경도 함흥부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읍지.
개설

2권 1책. 필사본. 책머리에 목록이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내용

내용구성은 권1에 지계(地界)·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성씨(姓氏)·풍속(風俗)·형승(形勝)·산천(山川)·토산(土産)·성곽(城郭)·관방(關防)·봉수(烽燧)·궁실(宮室)·누정(樓亭)·학교(學校)·역원(驛院)·창고(倉庫)·불우(佛宇)·사묘(祠廟)·능묘(陵廟)·고적(古跡)·명환(名宦)·관안(官案)·우거(寓居)·인물(人物)·효열(孝烈)·과공(科貢)·음관(蔭官)·사명(社名), 권2에 공서(公署)·호액(戶額)·전안(田案)·창저(倉儲)·공부(貢賦)·병안(兵案)·이안(吏案)·천안(賤案)·교량(橋梁)·제영(題詠)·잡기(雜記)로 되어 있다.

관방조에 중령보(中嶺堡)가 ‘지금 임금 14년에 관찰사 윤지완(尹趾完)의 계청으로 설치’되었음이 밝혀져 있고, 제영조에 남구만(南九萬)을 ‘지금 영중추부사’라 하였는데, 그가 영중추부사가 된 것은 1696년(숙종 22)이므로 1696년 이후, 그 가 사직, 낙향하였던 1701년 사이에 편찬된 읍지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읍지는 현전하는 함흥의 읍지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증보를 위하여 각도에 읍지 상송을 명하였던 1699년의 읍지편찬작업과 관련되어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읍지는 당시 편찬된 원본이 아니고 후의 필사본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함경도 감영이 있어 도의 행정중심지였을 뿐 아니라, 태조 이성계(李成桂)가 왕이 되기 전에 살던 곳이라 하여 중시되었던 함흥의 읍지답게 내용이 풍부하고 상세하여, 17세기 말의 함흥과 함경도지역 사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관북읍지(關北邑誌)』
『함산지통기(咸山誌通紀)』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