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장 ()

목차
불교
인물
조선후기 해남 대둔사에 출가해 『아암집』을 남긴 승려.
이칭
무진(無盡)
연파(蓮坡), 아암(兒庵)
이칭
팔득(八得)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72년(영조 48)
사망 연도
1811년(순조 11)
출생지
전라남도 해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해남 대둔사에 출가해 『아암집』을 남긴 승려.
내용

성은 김씨(金氏). 자는 무진(無盡), 호는 연파(蓮坡) 또는 아암(兒庵). 속명은 팔득(八得). 혜장(惠藏)은 법명이다. 전라남도 해남 출신. 어려서 출가하여 해남대둔사(大芚寺)의 월송화상(月松和尙)으로부터 구족계를 받았다.

그 뒤 춘계(春溪)와 천묵(天默)으로부터 내전과 외전을 배웠는데, 총명하여 불경은 물론 세속의 학문까지 통달하였으므로 그의 명성은 승도들 사이에 자자하였다. 그 뒤 당대의 대강사인 유일(有一)과 정일(鼎馹)로부터 불교공부를 계속하였다.

27세 때 정암(晶巖)의 밑에서 선리를 터득하여 문신(文信)의 적손(嫡孫)이 되었다. 30세 때 두륜대회(頭輪大會 : 두륜산내의 승려대회)를 주도하였음을 보면, 그 나이에 선(禪)·교(敎) 양종의 거목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801년(순조 1) 전라도 강진에 유배된 정약용(丁若鏞)과 깊은 교우관계를 맺게 되었다.

정약용은 그의 비명(碑銘)에서, “『논어』 또는 율려(律呂)·성리(性理)의 깊은 뜻을 잘 알고 있어 유학의 대가나 다름없었다.”고 칭찬하였다. 그는 특히 『수능엄경(首楞嚴經)』과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가장 잘하였다.

35세 때부터 시주(詩酒)를 즐기다가 1811년 가을, 병을 얻어 두륜산(頭輪山) 북암(北庵)에서 입적하였다. 제자에 색성(賾性)·자굉(慈宏)·응언(應彦)·법훈(法訓) 등이 있었으며, 모두 불교계의 거장이었다. 저서에는 『아암집』 3권이 있다.

참고문헌

『아암집(兒庵集)』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