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가어대전 ()

유교
문헌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언행과 사적을 기록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언행과 사적을 기록한 유학서.
서지적 사항

필사본 1책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이다.

내용

『공자가어(孔子家語)』는 공자 문하의 제자들이 지은 것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현재 학계에서는 왕숙(王肅)이 위조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왕숙은 『좌전(左傳)』, 『국어(國語)』, 『맹자(孟子)』, 『순자(荀子)』, 『대대례(大戴禮)』, 『예기(禮記)』, 『사기(史記)』, 『설원(說苑)』, 『안자(晏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呂氏春秋)』 등에서 공자에 관한 기록들을 모아 공안국(孔安國)의 이름으로 이 책을 만들었다.

『공자가어』는 전체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권에는 「상노(相魯)」, 「시주(始誅)」, 「왕언해(王言解)」, 「대혼해(大婚解)」, 「유행해(儒行解)」,「문례(問禮)」, 「오의해(五儀解)」, 제2권에는 「치사(致思)」, 「삼서(三恕)」, 「호생(好生)」, 제3권에는 「관주(觀周)」, 「제자행(弟子行)」, 「현군(賢君)」, 「변정(辯政)」, 제4권에는 「육본(六本)」, 「변물(辨物)」, 「애공문정(哀公問政)」, 제5권에는 「안회(顔回)」, 「자로초견(子路初見)」,「재액(在厄)」, 「입관(入官)」, 「곤서(困誓)」, 「오제덕(五帝德)」, 제6권에는 「오제(五帝)」, 「집비(執備)」, 「본명해(本命解)」, 「논례(論禮)」, 제7권에는 「관향사(觀鄕射)」, 「교문(郊問)」, 「오형해(五刑解)」, 「형정(刑政)」, 「예운(禮運)」, 제8권에는 「관송(冠頌)」, 「묘제(廟制)」, 「변악해(辯樂解)」, 「문옥(問玉)」, 「굴절해(屈節解)」, 제9권에는 「72제자해(七十二弟子解)」, 「본성해(本姓解)」, 「종기해(終記解)」, 「정론해(正論解)」, 그리고 마지막 제10권에는 「곡례자공문(曲禮子貢問)」, 「곡례자하문(曲禮子夏問)」, 「곡례공서적문(曲禮公西赤問)」 등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공자의 언행 및 문인, 문하생들과의 문답과 논의에 대하여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위서통고(僞書通考)』
『중국유학백과전서(中國儒學百科全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lib.aks.ac.kr/Web)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