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도대전강령 ()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인 · 학자 황필수가 유가경전 오륜의 내용을 12개의 대항목으로 분류하여 편찬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문인 · 학자 황필수가 유가경전 오륜의 내용을 12개의 대항목으로 분류하여 편찬한 유학서.
개설

『달도대전강령(達道大全綱領)』은 조선말기 고종 때 유의(儒醫)인 혜람(蕙菴)황필수(黃泌秀: 생몰연대 미상)가 유가경전의 내용들 가운데서 오륜(五倫)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 부(父)·자(子)·형(兄)·제(弟)·부(夫)·부(婦)·군(君)·신(臣)·우(友)·어하(御下)·사상(事上)·수신(修身) 등 12개의 대항목으로 분류하여 편집한 책이다. 이 책은 두 가지 판본이 현존하는데, 3권 3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있고, 3권 2책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은 1867년(고종 4)에 완성되었으며‚ 이후 1868년에 황필수의 족제(族弟)였던 황지수(黃芝秀)가 집주하고 김기연(金耆淵)이 교정하여 1874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달도대전강령』에는 두 가지 판본이 있다. 하나는 3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는 판본이고, 다른 하나는 3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는 판본이다. 3권 3책으로 구성된 판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책에는 청나라의 국사관협수(國史館協修) 서부(徐鄜)의 서문과 황비수(黃泌秀)의 원서(原序)‚ 강령(綱領)‚ 그리고 권1의 「내편(內篇)」 6개 항목이 수록되어 있다. 한편 2책에는 권2의 「외편(外篇)-상(上)」 3개 항목이‚ 3책에는 권3의 「외편(外篇)-하(下)」 3개 항목이 실려있다.

3권 2책으로 되어 있는 판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책에는 목록(目錄)과 강령(綱領)‚ 권1의 「내편(內篇)」이‚ 2책에는 권2·3의 「외편(外篇)」이 수록되어 있다. 3권 2책으로 되어 있는 판본에는 3권 3책으로 되어 있는 판본에 실려있는 서부와 황비수의 서문 2편이 빠져있다.

내용

황필수는 서문에서 ‘달(達)’을 ‘지선(止善)’으로‚ ‘도(道)’를 ‘솔성(率性)’으로 정의한 다음, 『중용(中庸)』에서 오륜(五倫)을 ‘천하의 달도(達道)’로 규정한 내용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부자·형제·부부는 가정 내의 인간관계이므로 그에 관한 것은 내편(內篇)으로 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외편(外篇)으로 하였다. 나아가 그는 본서에서 공자의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의 뜻에 따라 부도(父道)·자도(子道)·형도(兄道)·제도(弟道)·부도(夫道)·부도(婦道)·군도(君道) 그리고 신도(臣道)를 함께 논할 것이라고 밝혔다. 『달도대전강령』에서 황필수는 『주역(周易)』·『서경(書經)』·『논어(論語)』․『맹자(孟子)』․『대학(大學)』 그리고 『중용(中庸)』 등의 경전에 등장하는 달도(達道)의 의미‚ 오륜의 실천 등에 관련된 내용들을 12개 조목 39개 세부조항으로 분류하여 나열하였다. 이 가운데 1조목은 자성(自誠)·주은(主恩) 그리고 교훈(敎訓)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도(父道)를, 2조목은 양지(養志)·승순(承順)·간쟁(諫諍)·진직(盡職)·광경(廣敬) 그리고 통론사친(通論事親)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도(子道)를, 3조목은 돈목(敦睦)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형도(兄道)를, 4조목은 치경(致敬)과 자성(自誠)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도(弟道)를, 5조목은 치부(取婦)·정가(正家)·거장(居長)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도(夫道)를, 6조목은 견정(堅貞)·무위(無違)·경신(敬愼)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도(婦道)를, 7조목은 수성(修省)·친현(親賢遠小)·종간(從諫)·간민(干民) 그리고 통론군도(通論君道)로 구성되어 있는 군도(君道)를, 8조목은 사군(事君)·간쟁(諫諍)·진충(盡忠)·출처(出處)로 구성되어 있는 신도(臣道)를, 9조목은 택우(擇友)·보인(輔仁)·통론교유(通論交游)로 구성되어 있는 우도(友道)를, 10조목은 자성(自誠)·입교(立敎)·신민(新民)으로 구성되어 있는 어하(御下)를, 11조목은 자성(自省)·사사(事師)·사귀사장(事貴事長)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상(事上)을 다루고 있고, 마지막 12조목에서는 자성(自誠)·위의(威儀)·교유(交游)로 구성되어 있는 수신(修身)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참고문헌

『유교대사전』(유교대사전편찬위원회, 성균관, 200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lib.aks.ac.kr)
규장각한국학연구원(kyujanggak.snu.ac.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