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탁음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중국의 등운학에서 현대 언어학에서의 유성장애음을 가리키는 언어학용어. 전탁(全濁).
이칭
이칭
전탁(全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중국의 등운학에서 현대 언어학에서의 유성장애음을 가리키는 언어학용어. 전탁(全濁).
개설

중국 등운학의 일반적인 정의에 의하면, 전탁(全濁)은 『운경(韻鏡)』의 36자모(字母) 중 竝[pɦ] · 奉[fɦ] · 定[tɦ] · 澄[ʈɦ] · 群[kɦ] · 從[tsɦ] · 邪[sɦ] · 牀[ʂɦ∼tʂɦ] · 審[ʂɦ] · 匣[xɦ]을 포함한다. 이들은 후기 중고 중국어에서는 무성음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나, 전기 중고중국어에서는 유성장애음이었던 자음들을 포괄하고 있다. 『훈민정음』에서는 전탁음을 각자병서로 표기하고 있다.

내용

고대 중국의 발음을 기술하는 용어로서의 청탁(淸濁)은 당대(唐代) 이전 여러 가지 용법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중국의 등운학에서 일컬어지는 것과 같은 유성-무성음의 대립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처음 사용된 것은 당말(唐末)의 승려 수온(守溫)의 저작으로 알려진 돈황문서 『수온운학잔권(守溫韻學殘卷)』에서이다.

중국 학자 위민〔兪敏〕의 「등운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감〔等韻溯源〕」에서는 이러한 청탁의 정의가 인도의 성명학(聲明學)에서 자음을 기술하는 용어인 śvāsah · aghosah(높음), nadah · ghosah(낮음)에서 기원하였다고 보았다. 이것이 분명하다면 탁(濁)은 nadah · ghosah에 해당한다.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등운도(等韻圖)인 『운경』에는 차탁(次濁)이란 개념은 있으나, 아직 전탁이란 개념은 보이지 않는다. 이 시기에는 차탁(공명자음)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탁(濁)만이 사용되었다. 전탁이란 개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원대(元代)의 등운도인 『사성등자(四聲等子)』로서, 이 또한 위민에 의하면 인도 성명학의 ‘비성(比聲)’ 다섯 행 중 Prathama(첫 번째 글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의의와 평가

한국에서는 1446년 『훈민정음』 반포 후, 각자병서로 적은 자음들을 전탁이라고 불렀으며,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 의하면 ㄲ · ㄸ · ㅃ · ㅉ · ㅆ · ᅘ이 전탁에 속하는 것이었다. 강신항의 『훈민정음연구』에서는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의 기술에 의거, 같은 책에서 거론한 전탁이란 한국어의 된소리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이에 의거한다면 전탁으로 일컬어진 『훈민정음』의 각자병서 자모는 한국어의 된소리를 적기 위해 만들어진 것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동국정운』과 같이 규범적인 한자음을 적거나 『홍무정운역훈』과 같이 중국어의 발음을 표기할 때는 등운학에서의 전탁을 적기 위해 사용되므로 한국어를 표기할 때의 용법과는 차이가 있다. 단, 당시의 북방 중국어에서는 이미 전탁에 해당되는 자음이 무성음화되어 소실되었으므로 그러한 각자병서의 표기는 등운학에 기초한 이상적인 독음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수정증보 훈민정음연구』(강신항,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3)
『韻鏡通釋』(陳廣忠, 上海辭書出版社, 2003)
『古漢語知識詳解辭典』(馬文熙·張歸璧 外, 中華書局, 1996)
「等韻溯源」(兪敏,『兪敏語言學論文集』, 中華書局, 1995)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E.G. Pulleyblank,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