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고지도 ()

목차
관련 정보
동래고지도
동래고지도
인문지리
문헌
국가유산
조선후기 동래부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 고지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동래 고지도(東萊 古地圖)
분류
유물/과학기술/천문지리기구/지리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부산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4년 10월 04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동래부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 고지도.
개설

조선 후기에 집중적으로 만들어진 지방 단위의 정밀 지도는 대체로 지방 통치의 목적으로 홍문관(弘文館)에서 주관하여 만든 홍문관 계열 지도, 군사 목적에서 비변사(備邊司)에서 만든 비변사 계열 지도, 왕실에서 재원 파악을 목적으로 만든 규장각(奎章閣) 계열 지도, 그리고 지방에서 읍지 발간과 지방 사정 파악을 목적으로 만든 지방 군현 계열 지도가 있다. 이 지도는 지방 군현 계열 지도에 속하며, 19세기 동래성을 중심으로 옛 동래군을 조감도 형식으로 그린 1폭의 채색회화 지도이다. 2004년 10월 4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어,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세로 132.5㎝, 가로 78.5㎝ 크기의 한지에 수묵담채로 그린 조감도 형태의 지도로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동래 · 부산 고지도』와 1872년(고종 9) 경에 제작된 규장각 소장의 『동래군현지도』와 같은 형식이다. 19세기에 동래성을 중심으로 동으로는 청사포, 서로는 낙동강, 남으로는 몰운대, 북으로는 두구 · 반송동을 경계로 한 옛 동래군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현재 부산과 관련된 지도로는 대략 150여점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 지도가 가장 상세하게 그려진 것이다. 내용면에서는 동래부 관내의 크고 작은 모든 관아시설을 망라하고 있으며, 여러 사찰과 경승지, 정자 · 방파제 · 선박 등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행정 단위로는 중심지인 읍내면을 비롯하여 부산면 · 동평면 · 사상면 · 사하면 등 10개 면이 표기되어 있다. 1868년(고종 5)에 동평면은 동평면과 부산면으로 나누어지고, 사천면은 사상면과 사하면으로 분리되었음을 감안할 때 이 지도는 적어도 1868년(고종 5)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의의와 평가

이 지도는 조감의 시점을 이용하여 지역 전체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단부의 육지와 하단부의 바다를 대각선으로 구획한 화면구성은 바다를 끼고 있는 부산의 특성을 잘 살리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조선조 후기부터 말기까지의 정선(鄭敾) 일파의 진경산수화의 전통과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부산지역 고지도 연구」(김기혁, 『항도부산』18, 2002)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