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동당제(별신굿) ((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국가유산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일대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마을제사. 동제 · 당제 · 별신굿.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일산동당제(별신굿)(日山洞堂祭(別神굿))
분류
무형유산
지정기관
울산광역시
종목
울산광역시 시도무형유산(2003년 04월 24일 지정)
소재지
울산광역시 동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일대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마을제사. 동제 · 당제 · 별신굿.
개설

당제는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전통적 의례로, 일산동당제는 동해안 자연마을에서 지금도 행하고 있는 동해안별신굿의 하나이다. 2003년 4월 24일 울산광역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어, 보존 전승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이 별신굿의 역사적 유래에 대한 정확한 문헌기록을 찾을 수는 없으나, 일산동 마을 사람들은 이 동제가 2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알고 있다.

행사내용

일산동당제는 유교식 제의와 별신굿의 이원적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유교식 제의는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 마을 임원들의 주관 아래 신당(神堂)신당(神堂)에서에서 이루어지며, 별신굿은 2년마다 음력 10월 초하루부터 3∼4일간 24거리의 굿으로 진행된다. 이 당제를 지낼 때에는 10월 초하룻날 자시(子時)에 신당에서 당신(堂神)에 대한 유교식 제를 별도로 지낸다.

이 마을에서 모시는 신은 골매기 할배와 할매의 부부신인데, 이들은 입거시조신(入居始祖神)으로 할배 하나에 할매는 둘이다. 별신굿은 당주무당이 신당신당에서에서 신맞이굿을 하여 골매기신을 내린 후 장소를 굿당으로 옮겨 진행한다. 제주는 마을 사람 가운데에서 선정하는데, 유교식 제의와 별신굿 모두를 관장한다. 마을 임원들도 제주와 함께 참여하며, 이들은 대개가 어촌계(漁村契) 임원들이다. 어촌계는 소형어선의 선주와 선원, 그리고 해녀들로 구성된 마을 자치조직의 실질적 핵이며, 마을 사람들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

이 굿은 동해안의 세습무집단이 중심이 되어 행한다. 굿은 대체로 부정거리, 상하당맞이, 가망거리, 세존거리, 성조거리, 군웅거리, 제석거리, 내천왕거리, 산신거리, 조상거리, 손님거리, 대왕거리, 외성조거리, 외세존거리, 우천왕거리, 용왕거리, 맹인거리, 부인거리, 소가망거리, 황제거리, 걸립거리, 장수거리, 월래거리, 대거리의 24거리로 진행된다.

현황

현재 일산동당제보존회가 결성되어 당제를 주관하고 있으며, 당주무당은 김영희 무녀(부산광역시 기장군 거주)이다. 이 당제에는 마을 사람 전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물론이고, 타지에 나가 살고 있는 지역 출신 사람들도 마을로 돌아와 합류한다. 명절이 되면 뿔뿔이 흩어졌던 가족들이 모두 고향집으로 모이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 이 마을에서는 지금도 별신굿 기간에 이루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일산동당제는 신성한 제의이자 마을 사람 모두가 함께하는 공동의 축제이다. 골매기 할배와 할매의 보호 아래 마을 전체가 안녕과 평화를 누릴 수 있고, 개인의 안녕과 평화는 마을 전체의 안녕과 평화를 통해서만 확보된다는 공동체의식이 이 별신굿을 지탱하는 튼튼한 버팀목이다. 여러 가지 이유로 별신굿을 하는 마을의 숫자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요즈음, 이를 적극적으로 계승 발전시키고 있는 일은 민간신앙의 측면에서도 매우 의의 있는 일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별신굿 무가』(국학자료원, 1999)
『울산지방무가자료집』(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