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최원립 장군 묘 출토 복식·유물 ( ·)

목차
관련 정보
영암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유물 단령
영암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유물 단령
의생활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세류리에서 출토된 최원립(崔元立, 1618∼1690) 장군의 의복 일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암 최원립장군 묘 출토복식·유물(靈巖 崔元立將軍 墓 出土服飾·遺物)
분류
유물/생활공예/복식공예/의복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2007년 10월 16일 지정)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담인복식미술관 (대현동,이화여자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세류리에서 출토된 최원립(崔元立, 1618∼1690) 장군의 의복 일괄.
내용

2001년 7월 영암군 금정면 세류리 산111-7번지에서 탐진(耽津) 최씨 문중의 묘를 이장하던 중 출토되었다. 숙종 때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를 지낸 최원립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은 단령 1점, 철릭 1점, 중치막 3점, 대창의 2점, 협수 1점, 직령 1점, 창의 5점, 전복 3점, 저고리 4점, 바지 2점과 소품류로서 복건 · 망건 · 전대가 각 1점, 그리고 토시가 각 1건 2점, 이불 2점으로 총 29건 30점이다. 이 밖에 파손상태가 심한 한삼 1점, 바지 1점, 관 내부에 붙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운보문단, 솜을 싸고 있던 사각의 겹보자기, 현훈자국이 남아 있는 운문사와 숙초 등이 포함되어 있다.

출토 당시 수의를 가위를 이용하여 의복을 절개하여 의복에 심한 손상이 있었고, 수의로 추정되는 옷은 단령 1점, 대창의 1점, 중치막 1점, 협수 1점, 창의 2점, 직령 1점, 전복 1점이다. 그 외는 보공용으로 추정된다. 이 유물은 2001년 8월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내 담인복식미술관에 기탁되어 2004년 7월까지 소독 · 세척 · 보수 · 자료정리 · 실측 등 보존처리하였다. 이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에서 2007년 10월 16일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등록하였다.

이 유물의 특징은 솜을 넣지 않은 채 누빈 옷들이 많으며 누비의 간격도 다양하다는 점이다. 다량의 창의류와 화려한 문직물과 누비 전복이 출토되었다. 망건 · 복건 · 전대와 토수 등의 소품류도 모두 완형을 유지하고 있고, 특히 전대와 토수는 전복, 협수와 함께 묘주가 무관(武官)이라는 특성을 잘 나타내준다.

직물은 단 · 주 · 초 · 사 · 릉 · 교직 등 견직물이 다양하게 출토되었고, 식물성 섬유는 단 한 점도 없었다. 출토된 99점의 직물 중 문직물은 29점으로 다른 출토복식에 비해 비교적 많은 편이다. 문양은 구름문, 기하문, 식물문과 길상부호문이 있었고 그 중 구름문과 기하문이 많았다.

이 유물은 묘주의 신분 및 생몰년이 확실하고 단령을 비롯하여 각종 포와 저고리, 바지 등에서 조선후기 17세기 복식의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동시에 협수 · 전복 · 전대 · 토시 등 무관복식의 전형이 잘 나타난다.

참고문헌

『담인복식미술관 학술총서 1: 최원립 장군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