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어문학회 ()

현대문학
단체
어문학의 연구를 위해 1979년에 설립된 학술단체.
이칭
이칭
국제어문학연구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어문학의 연구를 위해 1979년에 설립된 학술단체.
설립목적

언어와 문학, 예술과 문화를 연구하여 한국학의 위상 정립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원 및 변천

1979년 2월 16일 국제대학교(현 서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생과 재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국제어문학연구회(國際語文學硏究會)'로 출범하였다. 1979년 학회지 『국제어문(國際語文)』을 창간하였다. 1981년에 제1회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1987년 1월 24일 교내 단체적 성격을 탈피하여 일반 학술단체로 전환하였다. 1999년 2월 20일에는 학회명을 국제어문학회(國際語文學會)로 바꾸고, 전국 학회로 전환하였다. 2001년 학회지 『국제어문』이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학술지로 선정되었고, 2004년에는 등재학술지가 되었다. 2024년에 제101차 전국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현황

1981년에 제1회 학술대회를 개최한 이래 매년 연 2회 전국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학술지 『국제어문』을 발간하고 있다. 발간연구서로는 『우리 말글과 문학의 새로운 지평』(1999), 『기독교와 한국문학』(2000), 『문자문화와 디지털 문화』(2001), 『디지털 시대의 언어와 문학연구』(2002), 『한국문학사의 전개과정과 문학담당층』(2002), 『고전문학 담당층과 문학의식의 제 문제』(보고사, 2004),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발전』(보고사, 2004) 등이 있다.

참고문헌

『국제어문』 1∼53(국제어문학회, 1979∼2012)
국제어문학회 홈페이지(www.iall.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