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 입상 ( )

목차
조각
작품
김경승이 1943년에 제작한 청동 조각.
이칭
이칭
류, 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소년 입상은 김경승이 1943년에 제작한 청동 조각이다. 높이 140.5㎝로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김경승은 도쿄미술학교에서 조각을 전공한 근대 조각의 1세대 작가이다. 이 작품은 작가가 1943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한 「류(流)」를 1971년에 다시 청동으로 제작한 것이다. 상체를 벗고 반바지를 입은 짧은 머리의 소년이 손을 뒤로 한 채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는 모습이다. 한 다리를 뒤로 빼고 몸을 S자로 굽힌 서양의 고전적인 콘트라포스토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얼굴과 몸의 세부는 사실적으로 충실하게 조각이 되어 있다.

키워드
목차
정의
김경승이 1943년에 제작한 청동 조각.
개설

청동. 높이 140.5㎝, 너비 38㎝, 두께 34.4㎝.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김경승은 일본의 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에서 조각을 전공한 근대 조각의 1세대 작가이다. 이 작품은 김경승이 1943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한 작품을 1971년에 다시 청동으로 제작한 것이다.

내용

김경승은 개성 출생으로, 부친이 일본의 메이지대학(明治大學)을 졸업한 유학파 지식인이면서 지주에 인삼포를 경영하였던 부유한 집안에서 성장하였다. 송도고등보통학교에 부임한 황술조(黃術祚)의 영향을 받아 미술에 입문하게 되었다.

도쿄미술학교 재학 중이던 1937년에 「K군의 얼굴」로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했다. 1939년에는 「소녀입상」으로 총독상을 수상했으며, 1940년에는 「목동(牧童)」으로 특선을, 1941년에는 「어떤 감정」으로 창덕궁상을, 1942년에는 「여명(黎明)」으로 연이어 특선 이상의 수상을 하면서 실력을 인정받았다. 같은 도쿄미술학교에서 유학한 서양화가인 그의 형 김인승(金仁承)과 형제 미술가로 유명했다.

1943년에는 추천작가로 「수(首)」와 「류(流)」를 출품하였는데, 작가는 이후에 「류」를 「소년입상」이라고 불렀다. 김경승은 이 시기 대부분의 조각 작품을 점토로 조각한 후 이것을 다시 석고로 떠내는 방식으로 제작하였으나 1971년에 「류」를 청동으로 다시 제작하였던 것이다. 전쟁 공출이 극심했던 1940년대에는 청동으로 작품을 제작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이 작품은 상체를 벗고 반바지를 입은 짧은 머리의 소년이 손을 뒤로 한 채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는데, 이것은 냇가에서 흐르는 물을 보며 생각에 잠긴 소년의 모습을 소재로 한 것이며 원제인 「류」와 잘 어울린다. 한 다리를 뒤로 빼고 몸을 S자로 굽힌 자세는 서양 조각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전적인 콘트라포스토(contrapposto) 자세이다. 얼굴과 몸의 세부는 사실적으로 충실하게 조각이 되어있으며 팔을 뒤로 돌린 자세와 생각에 잠긴 표정, 앳된 몸의 곡선이 서정적인 느낌을 자아낸다.

작가가 1940년에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한 「목동」이 강건한 신체와 씩씩한 표정에 낫을 든 청년의 모습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부드러운 느낌의 조각이다. 1941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했던 「어떤 감정」은 「소년입상」과 유사하게 “귀엽고 고흔 소년의 순진한 어느 감정의 한 부분을 표현”한 것이었다. 때로 씩씩하거나 서정적인 소년상은 1940년대로 들어서면서 조선미술전람회 출품작으로 다수 제작되었다. 예를 들어 김복진(金復鎭)이 1940년에 제작하여 특선한 「소년」은 김경승의 「소년입상」과 유사하게 짧은 머리에 반바지를 입고 상체를 드러낸 소년을 조각한 것이었다. 또한 1943년에 특선한 이국전(李國銓)의 「소년」도 짧은 머리에 반바지, 상체를 벗은 앳된 소년이 앉아있는 모습을 조각한 것이었다.

작가는 아카데믹한 조각 기법에 충실하면서 여성과 남성 전신상, 흉상 등을 사실적으로 제작하는 작품 경향을 보여주었다. 1941년에는 “조선총력연맹에 협력하여 직역봉공을 다하자는 목적”으로 발기한 경성미술가협회에 참여하였고, 1944년에는 전시체제의 애국반을 주제로 한 것으로 보이는 「제사반(第四班)」을 출품하였다. 사실적 인체조각상이라는 작가의 작품경향은 해방 이후에도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근대문화유산 조각분야 목록화 조사보고서』(문화재청, 2011)
『매일신보』(1941.5.3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