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심체요절음독구결 ()

목차
언어·문자
문헌
여말선초 『직지심체요절』의 단어와 구절 뒤에 한자로 우리말 조사와 어미 등을 단 불교경전. 구결서.
이칭
이칭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직지(直指)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여말선초 『직지심체요절』의 단어와 구절 뒤에 한자로 우리말 조사와 어미 등을 단 불교경전. 구결서.
개설

1377년(우왕 3년) 흥덕사(興德寺)에서 금속활자인 주자(鑄字)로 찍어낸 『직지심체요절』(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본)에 부분적으로 음독구결이 기입되어 있는 책이다.

내용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에는 묵서(墨書)로 된 음독구결이 2장 앞면, 12장 뒷면, 19장 뒷면, 29장 뒷면 5행부터 36장 앞면까지, 총 148행에 걸쳐 기입되어 있다.

이 구결은 한 사람이 기입한 것이 아니라 시간적 차이를 두고 여러 사람이 기입했을 가능성이 크며, 구결을 최초로 기입한 시기는 여말선초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전통을 이어받는 ‘(을고)’, ‘(을ᄒᆞ놋다)’, ‘(을ᄒᆞᄂᆞ니)’와 같은 복합형 구결이 사용된 점, 비유구문에서 ‘ᄃᆞᆺᄒᆞ다’의 고형인 ‘-(딧ᄒᆞ)’가 나타난 점, 『대명률직해』(1395년) 이두문에서만 확인되는 ‘(ᄒᆞ요다)’가 사용된 점, 그리고 명사형어미 ‘옴/움’이 예상되는 위치에 ‘(ᄒᆞ논디)’와 같은 명사구 보문 구성만 나타난다는 점 등이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이 묵서 구결에는 어구 해석을 잘못한 부분도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현토 위치를 잘못 기입해 수정 부호를 통해 구결 위치를 수정한 곳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능숙한 현토자의 구결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 자료에는 묵서 구결 이외에 주서(朱書) 구결도 함께 기입되어 있다. 주서 구결은 매우 간략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18·22·28·29·35장에 나타나는 한 두 개의 구결과 38장 뒷면 6행부터 10행에 간단하게 기입되어 있는 것이 그것이다. 주서 구결은 이 자료 전체에 기입되어 있는 주점(朱點)의 구두(句讀)를 표기한 사람이 함께 기입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직지심체요절의 구결에 대하여」(김두찬,『국어학』16, 1987)
프랑스 국립중앙도서관(http://gallica.bnf.f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