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한철 필 어해도병 ( )

목차
관련 정보
전 이한철 필 어해도병
전 이한철 필 어해도병
회화
작품
국가유산
조선 말기의 화가 이한철(李漢喆)이 그린 어해도(魚蟹圖).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전이한철필 어해도병(傳李漢喆筆 魚蟹圖屛)
분류
유물/일반회화/산수화/산수화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3년 09월 05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의 화가 이한철(李漢喆)이 그린 어해도(魚蟹圖).
내용

2005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종이 바탕에 담채. 10첩 병풍. 세로 158.8㎝, 가로 372.3㎝.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이한철이 그렸을 것으로 추정되며, 제1폭과 제10폭에는 조선 말기에 활동했던 서예가 김태석(金台錫, 1875∼1953)의 제발이 있다. 제2폭부터 제9폭까지는 8폭을 나누지 않고 한 폭의 화면에 그린 대형 그림이다.

그림의 배경 소재인 암석과 수풀, 꽃나무는 주변부를 이루며 수생 동물은 화면 중심에 배치되었다. 상단부에 꽃나무를 그려 넣음으로써 육지와 물의 경계가 더욱 모호해졌고, 바다와 민물에 사는 수생 동물들이 섞여 그려지는 등 그림에서 드러나는 비현실적 묘사는 조선 후기 어해도의 특징 중 하나이다. 제4폭의 쏘가리와 제7폭의 메기, 제8~9폭의 숭어처럼 수면 위로 뛰어 오르는 기존의 도상을 그대로 차용한 것 역시 유영(游泳) 중인 다른 물고기들과 비교했을 때 현실적인 묘사로 보기 어렵다. 다만 대담한 화면 구성, 활달한 필치, 동세 있는 물고기 묘사가 어우러져 작품에 생동감을 부여한다.

작품 속에 관서나 인장은 없지만 순천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이한철의 어해도와 비교했을 때 새우와 전복의 도상, 간략히 묘사한 X자 비늘 표현 등이 거의 일치하여 동일 작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임전 조정규의 회화 연구」(유치석,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12)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전 이한철 필 「어해도10폭병」 연구」(정붓샘, 『옛 그림을 만나다』, 서울역사박물관, 200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