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엽조란 용어는 이익의 『성호사설』에서 당시 민간의 성악곡인 만대엽·중대엽·삭대엽 등 오늘날 가곡의 전신에 해당하는 악곡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기 위하여 처음 사용하였다. 이익은 『성호사설』 권13 「국조악장(國朝樂章)」에서 “우리나라 풍속 가사(歌詞)에 대엽조가 있는데, 형식이 다 같아서 길고 짧은 구별이 없다. 그 중에 또 느린 것[慢], 중간 것[中], 빠른 것[數]의 세 가지 조(調)가 있으니, 이것은 본래 심방곡(心方曲)이라 부르던 것이다. 느린 것은 너무 느려서 사람들이 싫증을 내어 폐지된 지가 오래고, 중간 것은 조금 빠르나 또한 좋아하는 사람이 적고, 지금 통용하는 것은 곧 대엽(大葉)의 빠른[數] 조(調)이다. 그 이사(俚詞) 한 편이 세 가지 조에 통할 만하나 그 말이 비루하고 저속하여 이를 만한 것이 없다. … 속조(俗調)는 다섯 절(節)이 있고, 그 사이에 또한 장단의 구별이 있는데, 지금은 여섯 구(句)라도 맞지 않는 것이 없다(東俗歌詞有大葉調 四方同然㮣無長短之別 其中又有慢中數三調 此本號心方曲 慢者極緩 人厭廢久 中者差促 亦鮮好者 今之所通用 即大葉數調也 其俚詞一篇 可以通扵三調 然其語鄙俗 不足道 … 俗調有五莭 而其間亦有長短之別 今六句而無不諧也).”라 하였다.
이익은 ‘동속가사(東俗歌詞)’라 하여 중국과는 다른 우리나라 고유의 문학 장르에 대엽조가 있다고 하면서, 대엽조는 길고 짧은 구별이 없으며, 만·중·삭의 세 가지 가락[三調]이 있다고 하였다. 아울러 한문이 아닌 우리말[俚詞]로 된 한 편의 노랫말이 세 가지 가락에 통한다고 하였다. 이 같은 언급은 오늘날 가곡(歌曲)의 전신에 해당하는 만대엽·중대엽·삭대엽 등 세 가지 악곡을 가리키는 것이다.
본래 엽(葉)은 고려속요의 악곡 후반부에서 마치 후렴처럼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이 시기의 악가는 대부분 강(腔)과 엽으로 구성되었는데, 강은 전강·중강·후강 등이며, 악곡의 전반부에 위치한다. 반면에 악곡의 후반부를 형성하는 엽은 그 규모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한림별곡〉에서와 같이 비교적 큰 규모로 오늘날의 후렴과 거의 같은 기능을 하는 엽도 있으나, 〈정읍〉의 경우와 같이 짧은 후렴처럼 반복되는 부분은 소엽(小葉)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정과정(鄭瓜亭)〉이나 〈처용가(處容歌〉·〈봉황음(鳳凰吟)〉과 같이 규모가 큰 악곡에서는 대엽·소엽(小葉)·중엽(中葉)·부엽(附葉) 등의 다양한 엽이 활용되기도 하였다. 특히 『대악후보(大樂後譜)』 권5의 〈정과정[三眞勺]〉은 후반부가 대엽-부엽-대여음(大餘音)-이엽(二葉)-중여음-삼엽(三葉)-소여음-사엽(四葉)-부엽-오엽(五葉)-대여음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대엽 이하가 다섯 개의 엽을 중심으로 구성된 점이 주목되는데, 『양금신보(梁琴新譜)』(1610) 서문에서는 “요즈음의 대엽 만·중·삭은 모두 과정 삼기곡 중에서 나왔다(時用大葉慢中數 皆出於瓜亭三機曲中).”고 하였다. 〈정과정〉을 노래하던 악곡인 〈진작(眞勺)〉은 『대악후보』에 모두 네 곡이 실렸는데, 〈진작 1〉과 〈진작 2〉는 16정간 6대강 악보의 제2대강에서 시작하는 느린 곡이고, 〈진작 3〉은 제3대강 시작의 조금 빠른 곡이며, 〈진작 4〉는 제1대강에서 시작하는 곡으로, 노래 가사가 붙어 있지 않으며, 매우 빠르게 연주하는 곡이다.
이같이 음악의 빠르기를 달리하는 〈진작〉의 대엽 부분에서 만·중·삭대엽이 나왔다는 『양금신보』의 기록은 〈만대엽〉을 최초로 수록한 『금합자보(琴合字譜)』(1572) 〈만대엽〉이 5지(旨)로 구성되었으며, 제2대강에서 시작하는 악곡이고, 『양금신보』 〈중대엽〉 역시 5지로 구성되었고, 제3대강에서 시작하는 점과 일치한다. 따라서 〈진작〉의 후반부인 대엽 이하 부분이 따로 분리되어 국한문의 노랫말을 얹어 부르는 만대엽·중대엽·삭대엽 등의 성악곡이 되었고, 이들 악곡을 포괄적으로 가리키기 위하여 이익이 이를 대엽조라 지칭하였다.
오늘날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이라는 아명(雅名)으로도 불리는 가곡은 조선 전기부터 불리던 만·중·삭대엽이 전승되면서 시대에 따라 다양한 변화 과정을 겪었는데, 이익 당시만 하더라도 “만대엽은 너무 느려서 사람들이 싫증을 내어 폐지된 지가 오래고, 중대엽은 조금 빠르나 또한 좋아하는 사람이 적고, 지금 통용하는 것은 곧 삭대엽이다.”라 한 바와 같이 비교적 느린 악곡인 만대엽은 일찍이 도태되고, 이익 당대에는 조금 빠른 중대엽과 비교적 빠른 삭대엽이 남아 있었으나, 당시 일반적으로 통용되던 것은 삭대엽이었음을 알 수 있다. 『양금신보』 이후 중대엽과 삭대엽은 각각 평조(平調)·평조계면조(平調界面調)·우조(羽調)·우조계면조(羽調界面調)의 네 가지 악조로 악곡이 분화되었다. 그리고 17세기 후반에는 각 악조마다 중대엽은 초중대엽·이중대엽·삼중대엽의 세 곡으로, 삭대엽은 초삭대엽·이삭대엽·삼삭대엽의 세 곡으로 분화되었는데, 이익은 이 무렵의 중대엽과 삭대엽 계통 여러 악곡을 통칭하면서 ‘대엽조’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이다.
이후 삭대엽이 대엽조 악곡의 주류를 형성하면서 음역이 낮은 평조와 평조계면조가 쇠퇴하고, 우조와 우조계면조의 악곡이 남아 전승되었고, 18세기 후반 중형시조와 장형시조를 노래하기 위하여 삭대엽의 변주곡으로 농(弄)·낙(樂)·편(編) 등의 악곡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19세기에는 중거(中擧)·평거(平擧)·두거(頭擧) 등의 변주곡이 등장하면서 남녀창(男女唱) 한 틀이 갖추어져 오늘날과 같은 가곡 한 바탕을 이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