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어휘 ()

언어·문자
개념
한 언어의 어휘 가운데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단어들의 집합.
내용 요약

기초어휘는 한 언어의 어휘 가운데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단어들의 집합이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높고 새 단어의 형성에 자주 참여하며 다른 단어로 대체하기 어렵다. 기초어휘 선정은 1970년대 초등학교 국어 어휘 교육에서 시작하였다. 1990년대부터 대규모 언어자료의 전산처리가 가능해 졌고, 한국어교육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선정되었다. 1990년대 이후의 주요 기초어휘 선정 작업에서 1,500단어부터 10,641단어가 선정되었다. 기초어휘는 표준적이라고 할 수 있는 목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정의
한 언어의 어휘 가운데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단어들의 집합.
개설

한 언어의 어휘를 구성하는 수십 만의 단어는 중요도가 각기 다르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높고 새 단어의 형성에 자주 참여하며 다른 단어로 대체하기 어려운 단어들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단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어들의 집합을 기초어휘라 규정한다.

국어교육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실용적인 목적에서 기초어휘가 선정되어 왔다. 1990년대 이후의 주요 기초어휘 선정 작업에서 적게는 1,500단어부터 많게는 10,641단어를 기초어휘로 선정했다. 특히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어휘 목록은 중요도에 따라 등급화되었다. 이러한 목록은 사전에 반영되거나 교재 편찬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어의 선정과 등급의 판정 등을 정교화하기 위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

연원 및 변천

기초어휘에 관한 관심은 1970년대에 국어 어휘교육에서 시작되었다. 주로 초등학생을 위한 기초어휘 선정이 주된 목표였다. 그러나 국어의 전체 어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정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기초어휘를 선정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실제 선정 작업은 초등학교 교과서의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교과서의 어휘가 기초어휘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므로 교과서의 어휘를 바탕으로 기초어휘를 선정한다는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었다. 그래서 여러 작업들이 바람직한 기초어휘 선정에 이르지는 못했다.

1990년대에 국어의 전산화가 시작되자 어휘 분석 작업은 이전과 다른 모습을 띠게 되었다. 대규모의 실제 언어자료를 전산처리함으로써 어휘 분석을 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이 무렵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장에서 기초어휘 선정을 시급하게 요구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 활용할 기초어휘가 여러 건 발표되었다.

내용

「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1991)는 국어교육의 관점에서 기초어휘 1,500단어를 선정하고 의미별로 분류해 목록을 제시했다.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2003)는 23만여 단어를 기존의 기초어휘와 사전 등의 중요도를 참고하여 7등급으로 나누어 목록화했다. 중요도가 가장 높은 1등급 1,845단어를 기초어휘로 보았다.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2003)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기준으로 삼을 기초어휘 5,965단어를를 선정했다. 이것은 다시 초급(A등급) 982단어, 중급(B등급) 2,111단어, 고급(C등급) 2,872단어로 세분되었다.

『한국어 기초어휘집』(2010)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기준으로 삼을 기초어휘 2,700단어를 선정하고 중요도, 표기, 발음, 품사, 어종, 조어구조, 의미 등 여러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했다. 중요도에 따라서는 한국어능력 1급 300단어, 2급 600단어, 3급 800단어, 4급 1,000단어로 분류했다.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2012),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2단계)』(2013),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3단계)』(2014)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기준으로 삼을 기초어휘로 초급 1,836단어, 중급 3,855단어, 고급 4,950단어, 총 10,641단어를 선정했다.

현황

국어 어휘교육 분야에서는 기초어휘에 대한 관심이 적다. 최근에 나온 초등학생용 국어사전들이 표제어에 중요도를 표시하고 있는 정도이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어휘교육 분야에서는 기초어휘에 대한 관심이 높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2006)이 표제어에 중요도를 표시하고 있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나 한국어 어휘 학습서를 편찬할 때도 각종 기초어휘 목록을 참고하고 있다. 여러 기초어휘 목록 중 어느 한 가지가 표준으로 활용되기보다 이들이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기초어휘의 선정은 2000년대 이후에 국어 전산화를 바탕으로 하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의 수요에 힘입어 발달했다. 최근으로 올수록 더 정교한 목록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아직 표준적이라 할 만한 기초어휘 목록은 없다.

우선 기초어휘 선정에 앞서 목록을 구성하는 단위인 단어를 가려내는 것이 중요하다. 동사 ‘갖다’와 ‘가지다’는 같은 단어의 변이형들이므로 둘을 합쳐 ‘가지다’라는 한 단어만 선정한다든지 ‘소설가, 전문가, 정치가’ 등에 붙은 접미사 ‘-가(家)’는 단어가 아니므로 선정하지 않는다든지 하는 것이 그 예이다. 그리고 기초어휘의 크기는 어느 정도가 적절한지, 각 단어를 기초어휘에 넣고 빼는 기준을 어떻게 세우고 실행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더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3단계)』(강현화 외, 국립국어원, 2014)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2단계)』(강현화 외, 국립국어원, 2013)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강현화 외, 국립국어원, 2012)
『한국어 기초어휘집』(배주채, 한국문화사, 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서상규 외, 신원프라임, 2006)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국립국어연구원, 2003)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김광해, 박이정, 2003)
「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임지룡,『국어교육연구』 23,199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