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동아 ()

과학기술
문헌
1986년 1월, 동아일보사가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창간한 국내 최장수 월간과학잡지.
문헌/연속간행물
창간 연도
1986년
간행자
동아일보사, 동아사이언스
간행주기
매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과학동아는 1986년 1월 동아일보사가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창간한, 국내 최장수 월간 과학잡지이다. 국내외 과학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창간하였으며, ‘온가족이 함께 보는 과학잡지’를 표방한다. 과학동아는 국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하였고 과학 전문기자와 과학 저술가를 배출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의
1986년 1월, 동아일보사가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창간한 국내 최장수 월간과학잡지.
창간 경위

동아일보사는 1986년 1월에 청소년 및 일반 대중을 독자로 하는 과학전문잡지, 『과학동아』 창간호를 발간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대중잡지 발간 붐을 타고 『과학동아』 외에도 『사이언스』, 『뉴턴과학』 등이 발간되었다. 『과학동아』는 외국 잡지의 번역 기사가 아니라 직접 취재한 과학 기사를 싣는 것으로 다른 잡지와 차별화하였다.

구성과 내용

창간호부터 사용한 안상수체의 제호는 『과학동아』의 상징이 되었다. 창간호의 주요 기사는 ‘남극대륙’, ‘스타워즈’와 창간 기념으로 조사한 ‘선진국에 크게 뒤진 기초과학’이었다. 별책부록 ‘세계를 바꿀 과학발견 24’를 포함한 창간호의 정가는 3,300원이었다.

『과학동아』는 1996년부터 가습기, 정수기의 원리 등 생활과 밀접한 과학까지 다루면서 폭넓은 독자층을 만들 수 있었다. 덕분에 많은 정기구독자를 확보하였고 판매부수가 늘어났으며,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서면서 잡지 발간 환경이 안정되었다. 이는 경영상의 큰 어려움을 겪지 않고 IMF 외환위기를 넘길 수 있는 힘이 되었다.

변천과 현황

2000년에 동아일보 출판국 과학동아부가 동아사이언스로 독립하였다. 동아사이언스는 2005년에 『어린이과학동아』, 2009년에 『수학동아』를 차례로 창간하면서 잡지를 통한 과학 대중화를 이끌었다. 동시에 오프라인에서 강연, 체험 등 다양한 과학문화 사업을 진행해 잡지 독자들에게 과학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과학동아는 2013년 2월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콘텐츠 잡지로 선정되었다.

『과학동아』는 과학 저널리즘이 성장하는 데도 역할을 하였으며, 많은 과학 전문기자를 배출하였다. 또한 글을 잘 쓰고 과학 대중화에 관심이 많은 필자들이 『과학동아』 기고를 통해 과학 저술가가 되었다.

그러나 디지털미디어 시대가 되면서 종이책 『과학동아』의 판매가 어려움을 겪기 시작하였다. 동아사이언스는 『과학동아』 등 잡지로 확보한 우수 콘텐츠와 독자층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과학문화사업, 디지털 콘텐츠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과학동아』 2019년 4월호는 통권 400호다. 이를 기념하여 『과학동아』의 주요 기사 50편을 선정하여 수록한 단행본 『과학동아 400: 과학기술이슈 50』이 출간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400: 과학기술이슈 50』(2019)

인터넷 자료

동아사이언스(https://m.dongascience.com)

기타 자료

‘『과학동아』 창간 ... 500명 대상 <한국과학기술의 현주소> 조사 기초과학육성 시급’, 『동아일보』(1895.12.24)
‘과학동아 30년, 미디어는 변신중’, 『The Science Times』 (2015.12.2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