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발토기(三足土器)
세발토기는 백제지역에서 출토되는 발이 세 개 달린 토기이다. 가장 전형적인 백제 토기로 뚜껑접시 형태의 둥그런 배신(杯身) 아래에 짧은 다리가 3개 달려 있어서 삼족토기라고도 한다. 한성기 초기에는 배신의 바닥이 매우 편평하며 바닥과 배신이 각을 이루는 형태로 서울 몽촌토성이나 풍납동 토성, 홍성 신금성 같은 생활유적에서만 출토되었다. 그 기능에 대해서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제사나 공헌용에 쓰이는 의기적인 성격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비기에는 부장되는 사례가 줄어들어 부여 왕궁지와 동남리 건물지와 같은 중요 생활유적에서 많이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