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족토기(三足土器)’라고도 한다. 뚜껑접시(蓋杯) 형태의 둥그런 배신(杯身) 아래에 짧은 다리가 3개 달려 있는 것으로서, 백제토기의 가장 전형적 기종 가운데 하나이다.
그 기원에 대해 웅진기 무렵 뚜껑접시에 다리가 붙으면서 발생하였다고 보기도 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한성기 백제유적 특히 몽촌토성에서 다량으로 출토되면서 백제토기의 하나로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출현과정에 대해서도 여러 견해가 있다. 첫째로 백제건국 세력의 출자와 관련시켜 중국 전한대(前漢代)의 세발토기가 부여(夫餘)를 경유하여 4세기 무렵 한강유역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전한대(前漢代) 세발토기는 광동(廣東)지역에서 주로 나오는 지역성이 강한 것이며 시기적 차이도 너무 커서 연결이 곤란한 점이 있다. 둘째로 집안(集安) 우산(禹山) 68호분 출토 청동제 삼족반(三足盤)을 5세기 중엽으로 보고 이를 조형으로 5세기 중반 이후에 출현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이 견해는 홍성 신금성 백제유적 등 4세기대의 유적에서 세발토기가 출토되고 있으므로 성립되기 어렵다. 셋째로 서진대(西晉代) 청동기 번안·모방성을 주장한 견해가 있다. 서진대(西秦代) 청동 삼족세(三足洗)에 보이는 돌대 등의 형태적 특징이 백제 세발토기의 초현형으로 생각되는 반형(盤形) 세발토기와 유사하다고 지적하고, 입곧은항아리(直口短頸壺) 등 검은색의 마연된 백제토기들과 그 출현계기 및 시기가 거의 같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백제와 서진과의 활발한 대외교섭 양상으로 보아 그 출현 시기는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인정되는데, 다만 한강유역에서 서진대 청동기가 발견된 예가 없고 이 무렵 중국 청자 삼족반의 형태가 백제 것과 유사하며, 서진대 전문도기 등이 백제지역에서 출토되는 점 등으로 미루어 중국 청자를 그 조형으로 하여 출현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몽촌토성의 편년 연구에 따르면, 백제 한성기 세발토기는 처음에는 배신의 바닥이 매우 편평하며 바닥과 배신이 각을 이루어 연결된다. 입술부분 직경은 25∼30㎝ 내외로 넓으면서 짧은 다리가 달려 있는 반형삼족기 형태로 초현한다. 이는 몸체에 2∼3개의 돌대가 달려 있으며 입술부분이 살짝 외반되어 있거나 짧게 직립되어 있는데, 특히 토기질이 모두 회색 연질로 되어 있으므로 백제토기 초기 기종 가운데 포함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후 입술 직경이 15㎝ 내외로 작아지면서 아랫부분이 둥그스럼하게 되어 뚜껑이 있는 것과 없는 접시형(杯形) 세발토기로 변화하게 된다. 이는 백제토기의 토기질이 4세기 중반 무렵 경질화되는 것과 그 궤를 같이하여 경질화되는 양상을 보이며, 배신의 표면을 예새(木理)를 이용하여 옆으로 깎아 다듬는 제작기법이 보인다. 말기에는 배신이 깊으면서 배신 높이와 비슷할 정도의 긴 다리가 붙은 것이 몽촌토성에서 출토되었는데, 논산 표정리 고분군의 85-14호분에서도 이와 동일한 것이 나오고 있다.
한성기 초기에는 세발토기가 서울 몽촌토성이나 풍납동 토성, 홍성 신금성 백제유적과 같은 생활유적에서만 출토되며, 청주(淸州) 신봉동(新鳳洞)이나 논산(論山) 표정리(表井里) 고분군과 같은 5세기대 무덤에서 비로소 부장되고 있다. 그 기능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 수 없지만, 제사나 공헌용에 쓰이는 의기적인 성격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웅진기 세발토기는 공주(公州) 정지산(艇止山) 유적 출토품이 대표적이다. 이 무렵 무개(無蓋) 세발토기는 거의 사라지고 어깨 부분이 보다 각진 뚜껑(有蓋) 세발토기가 성행하며, 입술의 높이가 높고 다리를 보다 각지게 아래 위로 깎아 다듬고 있다. 이 시기에는 무덤에의 부장도 활발하여 논산 표정리나 모촌리(茅村里), 익산(益山) 입점리(笠店里) 고분군 등에서 출토된다. 전남 지방에서는 광주(光州) 월계동(月桂洞) 1호분에서 웅진기 말∼사비기 초로 보이는 세발토기가 출토되고 있다.
사비기에는 전반적인 박장화 경향으로 인하여 무덤에 부장되는 예가 적어지며, 부여 왕궁지와 동남리 건물지와 같은 중요 생활유적에서 많이 출토된다. 기형은 배신 깊이가 이전 보다 매우 낮아지는 대신 다리 길이는 배신보다 1.5∼2배 정도 길어지고, 다리가 배신의 바깥 끝 부분에 주로 부착되어 매우 형식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사비기의 백제토기 질이 다시 연질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 함께 삼족기도 회색의 연질로 제작된 것이 보이는데, 부여(扶餘) 지선리(芝仙里) 고분군에서 이러한 전형적인 것이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