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로는 직립구연호(直立口緣壺), 혹은 직구호(直口壺)라고 부른다. 초기철기시대 검은긴목항아리〔黑陶長頸壺〕는 길고 곧은 목을 부착한 것이 있지만 원삼국시대에 들어오면서 목이 밖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바뀐다. 전형적인 곧은입항아리는 원삼국시대 후기에 진한(辰韓) 지역에서 무덤에 부장하기 위한 와질토기의 한 종류로 등장하였는데 짧은 굽다리〔臺脚〕를 붙인 형태였다.
원삼국시대 이후에는 백제와 신라, 그리고 가야지역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곧은입항아리가 등장한다. 한성백제 지역에서는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가 평평한 밑바닥에 곧은입을 지닌 형태로 많이 제작되며 회색토기 중 그릇 어깨가 넓게 벌어지는 곧은입항아리는 어깨항아리〔有肩壺〕라고 부른다. 신라와 가야지역에서 곧은입항아리는 보통 굽다리가 부착되며 4세기 후반∼5세기 초에 손잡이가 부착된 소형의 곧은입항아리는 낙동강 하류 지역의 특유의 장식을 한 특징적인 토기이다. 특히 신라와 가야지역에서는 4세기경 대형의 항아리 중에 곧은입항아리의 형태를 한 것이 자주 발견된다.